권성동 무소속 의원이 ‘4대강 사업’과 폭우·홍수 피해 연관성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은근히 4대강 사업을 디스했다”며 반발했다.
4대강 사업을 추진한 이명박정부 시절 ‘친이계’로 꼽혔던 권 의원은 11일 페이스북에 “문재인 대통령께서 4대강 보와 홍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라면서 은근히 4대강 사업을 디스했다”며 “애매모호하게 홍수의 원인이 4대강 보에 있는 것처럼 호도하지 말고 가뭄과 홍수예방에 자신 있으면 지금 즉시 4대강 보를 파괴하시라”고 적었다.
권 의원은 “4대강 사업 이전에는 매년 그 유역에서 홍수가 났지만, 그 후로는 금년의 딱 한 번을 제외하고는 그 주변에서 홍수가 나지 않았다”며 “이미 4대강 사업의 효용성이 입증됐는데 대통령의 폄훼발언을 보면서 진영논리에 갇힌 문 대통령이 안타깝고 답답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4대강 보가 홍수 조절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실증, 분석할 기회”라며 “댐의 관리와 4대강 보의 영향에 대해 전문가와 함께 깊이 있는 조사 및 평가를 해 달라”고 지시했다.
계속된 장마와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물난리가 발생한 가운데 때 아닌 ‘4대강’이 정치권 쟁점으로 떠올랐다. 야권에서는 “4대강 사업을 지류·지천으로 확대했다면 물난리를 더 잘 방어할 수 있었다”고, 여권에서는 “보 설치 후 수압이 증가한 탓”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앞서 MB정권에서 특임장관을 지낸 이재오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4대강 보는 물 흐름을 방해하는 기능이 아니라 물이 많이 흐르면 저절로 수문이 열려 물을 흘려보내는 자동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다”며 “부동산 정책 실패를 4대강으로 호도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그는 “4대강 16개 보를 안 했으면 이번 비로 나라의 절반이 물에 잠겼을 것”이라며 “나라를 더는 망하는 길로 몰지 마시고 민주당이여 국민을 보고, 현장에 가보고 나서 말해 달라”고도 했다.
▶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