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통합당, 이런 재난에 4대강·태양광 정쟁하고 싶나”

입력 2020-08-11 15:00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뉴시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미래통합당을 향해 재난 앞에선 위로와 수습이 먼저라면서 4대강과 태양광 발전소 논쟁을 그만두자고 호소했다.

김 전 의원은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보름 넘게 이어진 폭우로 사망자가 30명을 넘어섰다. 실종자도 10명이 넘고, 이재민이 7500명이 넘었다”며 “공무 수행 중이던 경찰과 공무원, 열 살도 안 된 아이들이 산사태에 매몰되고 물에 떠내려갔다. 참담하다”고 전했다.

그는 “이런 와중에 통합당 지도부가 수해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뜬금없이 4대강과 태양광 발전소 이야기를 꺼냈다”면서 “수해 지역에 갔으면 조용히 피해복구에 손을 돕고 올 것이지 무슨 소리냐”고 항의했다. 그러면서 “하루라도 도발하고 공격하고 정쟁을 일으키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냐”고 되물었다.

김 전 의원은 “영호남 화합의 상징인 화개장터를 포함해 1만여 주민이 사는 하동 읍내가 모두 잠겨 군 장병과 자원봉사자들까지 달려가 응급 복구에 여념이 없는 자리에서 4대강 사업을 한 곳은 물난리가 안 났다는 희떠운 소리를 꼭 해야 했나”면서 “제발 때와 장소를 가리라”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섬진강뿐 아니라 4대강 사업을 하고 보를 설치한 영산강과 낙동강에서 제방이 터져 주택과 농경지가 삽시간에 물에 잠기고 주민들에게 대피명령이 내려졌으며 지금도 복구작업이 한창”이라며 통합당의 4대강 사업 홍수 방지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태양광 발전소 사업 때문에 산사태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한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을 향해서는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난 곳에 가보고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냐”면서 “처참한 환경을 보고도 정치적으로 이용할 생각밖에 안 나시냐”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산림청에 따르면,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1만 2721곳 중 피해가 발생한 곳은 12곳(0.09%)이고, 전체 산사태 피해 1079건 중에 1.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침소봉대하더라도 좀 상식선에서 하라”고 꼬집었다.

김 전 의원은 “재난 상황이다. 이럴 때는 무의미한 정쟁 국민에게 상처를 주는 논란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니 옆으로 치워두자”며 “4대강 보가 홍수 예방에 도움이 됐는지 아닌지는 정치인들이 지금 떠들 때가 아니다. 대통령이 지시한 것처럼 전문가들의 조사에 맡겨두자”고 당부했다.

그는 “국가적 재난 앞에선 여야가 없다”면서 “지금 국민에게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복구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피해를 본 분들에게 어떤 위로와 지원이 필요한지, 그런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정쟁을 멈추고 이럴 때만이라도 정치가 제 밥값 좀 제대로 하자”고 재차 강조했다.

최성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