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항구에서 질산암모늄 보관 창고가 폭발해 6000여명의 사상자가 나온 가운데 총리와 대통령이 이미 지난달에 폭발 위험성에 관해 보고받았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750t에 달하는 이 물질이 6년 동안 안전장치 없이 보관돼 있어 대형 폭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음을 대통령도 알고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참사를 예방하지 못한 것이다.
매체에 따르면 하산 디아브 총리와 미셸 아운 대통령은 지난달 안보 당국자들로부터 베이루트 항구에 보관된 질산암모늄이 안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받았다. 안보 당국자들은 이 물질이 모두 폭발하면 도시 전체가 파괴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레바논 국가안보국 보고서와 고위 안보 관계자들에 따르면 보고서에는 지난 4일 베이루트 항구의 대형 폭발 참사가 발생하기까지의 과정이 담겼다. 이 보고서에서 디아브 총리와 아운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서한 한 통을 받았다고 언급돼 있다.
이 서한은 베이루트 항구의 질산암모늄을 즉시 안전하게 보호 조처해야 한다고 권고하는 사법당국의 조사 결과가 담겨 있었다고 한 고위 안보 당국자는 설명했다.
해당 서한 작성에 관여한 이 당국자는 “이 물질이 도난당하면 테러 공격에 쓰일 위험이 있었다”며 “폭발하면 베이루트가 파괴될 수 있다고 (대통령과 총리에게) 경고했다”고 말했다.
매체는 이 서한의 내용을 직접 보지 못했으며, 당국자 발언의 사실 여부도 확인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다만 디아브 총리와 아운 대통령이 서한을 받아보았고 이후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면 폭발 참사는 정부의 무능과 방치가 낳은 인재라는 비판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앞서 아운 대통령은 지난주 질산암모늄이 쌓여 있다는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시인하면서도 최고국방위원회에 “필요한 조처를 하라”고 지시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아운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최고국방위원회가 위험하다고 말했다”며 “내 책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 물질이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위험한지 몰랐다”고 주장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