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인 울산에 전국 최대 방사능 방재 인프라가 구축 되고 있다.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에 대비한 방재 시설이나 장비 구축과 효율적 방재 계획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산 86의 27 일대 부지 1만여㎡에 방사능방재지휘센터 건립공사를 진행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사업비는 모두 78억원으로 2021년 6월 완공 예정이다. 센터에는 상황실과 회의실, 사무공간, 합동방사선감시센터 등이 들어선다. 센터의 입지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인 새울본부 반경 30㎞ 바로 밖에 위치한데다 교통의 요충지여서 최적지라는 평가다.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중심으로 원자력방재타운도 조성된다. 울산시는 홍보관과 체험관, 지원동, 옥내대피용 교육연수동, 장비보관동 등이 들어서는 방재타운 조성을 추진한다.
방재타운에서는 차량 제독 및 신체 제염 체험, 방사선비상진료 체험, 구호소 생활체험 등 각종 훈련이 가능하며 방재 연구 기능도 맡게 된다. 방재타운은 방재지휘센터 건립이 완료되는 시점에 맞춰 준공할 계획이다.
예상하지 못한 방사능 재난 때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와 방재 장비 구축도 진행하고 있다. 시는 사업비 10억원 이상을 들여 예·경보 방송 시스템, 이재민 관리 시스템 구축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시민들을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 가상 모형도 마련한다. 시민 대피 가상 모형은 방사능 확산 예측 시스템과 연계해 지형과 기상 조건, 실시간 교통 현황 정보 등을 모두 망라해 시민들의 신속한 대피를 돕기 위한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평상시 진행하는 실전 같은 훈련은 방사능 재난에 대비해 실제 주민 대응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울산은 현재 울주군에 있는 신고리 3, 4호기를 비롯해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가 운영하는 고리 2, 3, 4호기, 신고리 1, 2호기와 경주시 양남면 월성원자력본부가 운영하는 월성 2, 3, 4호기, 신월성 1, 2호기 등 총 12기의 원전에 둘러싸여 있다.
또 울주군에 2023년과 2024년 준공 목표로 신고리 5, 6호기도 잇달아 공사가 한창이다.
국내 원전 도시는 울산시 울주군을 포함해 부산시 기장군, 경북 경주시, 경북 울진군, 전남 광양군 등 모두 5곳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인 울산, 국내 최대 방사능 방재 구축
입력 2020-08-11 12:36 수정 2020-08-11 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