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5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에서 최하위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국내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 2020년 현재 한국 4차산업혁명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인력수요의 약 3분의 1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5년 뒤인 2025년에도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한국, 미국, 독일, 일본, 중국 5개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관련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이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인력을 100이라 가정할 경우 미국은 123.3, 독일은 114.4, 일본은 107.8, 중국 106.7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처졌다.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공동 1위 포함)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독일은 4개(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중국은 3개(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일본은 2개(블록체인, 첨단소재)로 나타났다.
한국은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앞선 분야가 단 하나도 없었고,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다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2025년에도 미국은 121.1, 중국은 114.4, 독일은 106.7, 일본은 104.4 순으로 한국이 최하위일 것으로 예상했다. 5년 후 주요 국가별 4차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는(공동 1위 포함) 미국은 컴퓨팅기술을 제외한 8개, 중국은 3개(드론,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독일은 2개(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일본은 2개(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로 나타났다.
2020년 한국은 유일하게 중국에 대해서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분야에서 앞서 있는데, 5년 후에는 이 분야도 따라잡힐 것으로 전망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4차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사협회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한국로봇산업협회, 3D융합산업협회,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등 9곳이다. 조사분야는 사물인터넷, 3D프린팅, 드론, 블록체인,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분야였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