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연일 수해가 계속되자 야권에서 이명박 정부의 역점 사업이었던 4대강의 홍수 조절 효과를 주장하는 가운데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도 힘을 보탰다.
하 의원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섬진강 제방 붕괴와 하천 범람으로 4대강 사업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4대강 사업에 섬진강이 포함돼 지류와 지천 정비사업이 지속했다면 이번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했다는 이유로 4대강 사업을 반대하고 적폐로 몰아 보 해체를 강행하고 지류와 지천 정비 사업도 중단했다”며 “이제 와서 기후변화로 인한 기습폭우라 어쩔 수 없다는 변명만 늘어놓는 말을 들으니 이 정권 사람들이 바보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번 산사태 피해가 큰 원인 중 하나로 문 정부의 태양광 사업을 지적했다.
하 의원은 “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전국 산지에 태양광 시설을 짓기 위해 총 233만 그루의 나무가 베어졌다”며 “전문가들은 폭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오래전부터 경고했다”고 말했다.
그는 “영화 한 편 보고 탈원전 강행한 문 정부가 태양광 발전을 밀어붙이기 위해 전문가 경고를 무시한 결과 재난 피해를 키우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앞서 전날 자유한국당 시절 ‘4대강 보 파괴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정진석 통합당 의원은 자신의 페북에 “4대강 사업을 끝낸 후 지류·지천으로 사업을 확대했더라면 지금의 물난리를 좀 더 잘 방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홍준표 무소속 의원도 페북에서 “MB 시절 지류·지천 정비를 하지 못하게 그렇게도 막더니, 이번 폭우 피해가 4대강 유역이 아닌 지류·지천에 집중돼 있다는 사실을 그대들은 이제 실감하는가”라고 반문했다.
▶
최성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