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산사태는 태양광 사업 탓, 문재인 정권 바보 아닌가”

입력 2020-08-10 15:04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 연합뉴스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연일 수해가 계속되자 야권에서 이명박 정부의 역점 사업이었던 4대강의 홍수 조절 효과를 주장하는 가운데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도 힘을 보탰다.

하 의원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섬진강 제방 붕괴와 하천 범람으로 4대강 사업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4대강 사업에 섬진강이 포함돼 지류와 지천 정비사업이 지속했다면 이번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했다는 이유로 4대강 사업을 반대하고 적폐로 몰아 보 해체를 강행하고 지류와 지천 정비 사업도 중단했다”며 “이제 와서 기후변화로 인한 기습폭우라 어쩔 수 없다는 변명만 늘어놓는 말을 들으니 이 정권 사람들이 바보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이번 산사태 피해가 큰 원인 중 하나로 문 정부의 태양광 사업을 지적했다.

하 의원은 “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전국 산지에 태양광 시설을 짓기 위해 총 233만 그루의 나무가 베어졌다”며 “전문가들은 폭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오래전부터 경고했다”고 말했다.

그는 “영화 한 편 보고 탈원전 강행한 문 정부가 태양광 발전을 밀어붙이기 위해 전문가 경고를 무시한 결과 재난 피해를 키우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앞서 전날 자유한국당 시절 ‘4대강 보 파괴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정진석 통합당 의원은 자신의 페북에 “4대강 사업을 끝낸 후 지류·지천으로 사업을 확대했더라면 지금의 물난리를 좀 더 잘 방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홍준표 무소속 의원도 페북에서 “MB 시절 지류·지천 정비를 하지 못하게 그렇게도 막더니, 이번 폭우 피해가 4대강 유역이 아닌 지류·지천에 집중돼 있다는 사실을 그대들은 이제 실감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최성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