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온라인 투표를 통해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평범한 일반시민들의 인터넷 투표로 시민참여 예산사업을 선정하는 것이다.
광주시는 “2021년도 시민참여 예산사업 중 시정참여형 3개 사업을 시민 온라인 투표로 확정한다”고 10일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올해 처음으로 실시하는 시민 온라인 투표는 시민들에게 실질적 예산배정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풀뿌리 민주주의다.
그동안 시민참여 예산위원들에게 한정한 예산사업 선정권한을 일반시민으로까지 확대한 것이다.
주민 참여에 의한 예산사업은 지난 2003년 광주 북구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이후 전국 각 지자체로 확산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광주 시정참여형 예산사업 온라인 투표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일상생활에 꼭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양질의 예산사업을 스스로 선별할 수 있다. 시민들의 편익 증진에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예산사업을 스스로 선택하면 된다.
시민 온라인 투표는 10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됐다. 희망자들은 28일 오후 6시까지 컴퓨터나 모바일로 ‘광주광역시 시민참여예산제’ 홈페이지에 접속해 본인인증을 거친 뒤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시정참여형 후보 31개 사업 중 3개 사업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시민참여형 사업은 복지건강, 환경생태, 도시재생, 교통건설, 문화관광체육, 일자리경제, 일반행정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시는 이번 온라인 투표 결과를 50% 반영해 최종 예산사업을 확정하게 된다. 나머지 50%는 오는 3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하는 ‘2021년도 시민참여 예산사업 선정’ 총회의 위원 투표 결과를 합산하게 된다.
시는 내년 시민참여 예산사업 선정 총회에 시민참여 예산사업으로 시정참여형사업 31건(99억 4400만 원), 시정협치형사업 1건(15억 원), 지역참여형사업 36건(15억 5500만 원) 등 총 68건 130억 원을 상정했다. 이 중 120억 원 규모로 예산사업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시정참여 예산사업을 제외한 시정협치형과 지역참여형 사업은 총회 승인으로 최종 선정된다.
광주시 박상백 예산담당관은 “광주공동체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완성된다”며 “시민참여 예산사업을 선정하는 온라인 투표에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