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함 꽉 잡고…” 납골당 침수에 미어터지는 유족들

입력 2020-08-09 18:03

침수 사고가 발생한 광주광역시 한 납골당의 운영업체 측이 물에 잠겼던 유골을 모두 다시 화장하는 수습 방안을 마련했다. 침통한 표정의 유가족들은 물에 젖은 유골함을 끌어안고 침통함을 가누지 못했다.

9일 광주 북구에 따르면 동림동 수변공원에 자리한 사설 납골당의 운영업체가 재화장, 유골함 제작 등 피해 복구에 들어가는 비용을 전액 지불하기로 했다.

유가족은 배수 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든 이날 오후부터 침수됐던 납골당 지하층 내부로 들어가 유골함 보존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고정된 유리문이 파손되지 않아 침수 사고에도 불구하고 유골함은 유실 없이 제자리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발목 높이까지 물이 들어차 있고 바닥이 미끄러워 유족들은 줄을 선 순서대로 10명씩 내부에 들어갔다.

최근 폭우로 침수 피해가 난 광주 북구 동림동 한 사설 납골당에 9일 유골함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려는 유가족이 모여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근 폭우로 침수 피해가 난 광주 북구 동림동 한 사설 납골당에서 9일 소방과 군 관계자가 배수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가족은 납골당 측이 제시한 복구 방안을 두고 제각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른 납골당으로 옮겨간다는 의견, 유골함을 수습해 집에 돌아가겠다는 입장 등이 있다. 유가족은 조만간 대표자 모임을 구성해 납골당 운영 주체와 복구 절차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영산강 둔치에 자리한 이 납골당은 집중호우로 지하층 전체가 잠겼다. 지하층에는 유골함 1800기가 안장돼 있었다. 물은 지하층 환풍기를 통해 밀려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지상층의 침수 피해는 없다.

일부 유가족은 “납골당 운영 주체가 SNS에 침수 사실이 알려진 뒤에야 짤막한 안내문자 1통만 보냈다”며 책임감 부재를 꼬집었다. 또 다른 일부는 “광주시 등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이 부실해 침수 피해가 났다”고 주장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