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피해 확산으로 더불어민주당 8·29 전당대회 합동연설회가 줄줄이 취소되고 있는 가운데 당권 주자들은 수해 현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이낙연 민주당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은 각자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 장관 시절 경험을 살리며 재난 상황 속 리더십을 부각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피해가 심한 다른 지역도 빠른 시일 안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고 지원될 것”이라며 특별재난지역선포 확대를 주장했다. 이 의원은 “문재인정부 들어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매우 빨라지고 그 대상 지역도 읍·면·동으로 세분화 됐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지난주부터 경기도 안성, 충북 음성·충주, 광주 전남도청과 119 상황실 등 수해 현장을 찾고 있다. 현장에서 비 피해 발생 순서부터 농작물별 피해 대응 요령 등을 언급하는 등의 모습은 과거 ‘재난대응 총리’를 연상시키기도 했다.
김 전 장관도 재난 담당 주무 부처 수장으로서 경험을 녹인 메시지를 내놨다. 지난 6일 춘천 의암댐 경비정 사고가 나자 페이스북에 “가슴 아프기 그지없다”며 “행안부에서 일하던 22개월 동안 오렌지색 기동복과 노란 점퍼를 입은 채 땀과 연기에 절어 몇 날 며칠의 불면으로 눈에 핏줄이 터진 공직자들을 너무도 많이 보아왔다”고 했다.
광주·전남 합동연설회가 긴급 취소된 지난 8일에는 광주시청 상황실을 찾았다. 김 의원은 “호우나 태풍이 몰아칠 때는 사전 대비와 현장 대응이 중요하다”며 “재해대책본부에서는 정보 취합을 정확히 해 상황 파악을 실시간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상세한 설명을 곁들였다.
박 의원도 공식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광주 서구 양동시장과 광주천을 찾았다. 박 의원은 지난 8일 페이스북에 상인들과 나눈 이야기를 전하며 “매우 긴박하고 심각한 상황”이라며 “시민들의 삶터와 일터가 모두 잠기고 있어 이미 불안함을 넘어 공포감을 느끼는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했다. 박 의원은 “광주·전남도 하루빨리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복구와 재난 응급대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해 피해가 커지면서 당초 예정됐던 민주당 8·29 전당대회 합동연설회 일정은 불가피하게 미뤄지게 됐다. 다만 9월 정기국회 일정이 있는 만큼 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는 그대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합동연설회는 피해 상황을 고려해 일정 조정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