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위험이 높은 부산 전역의 지하차도에 대해 호우 특보 발령 시 자동으로 출입을 제한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는 지난달 23일 부산 동구 지하차도 침수로 3명이 숨지는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것으로, 뒷북 대책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부산시는 지하차도 침수피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침수 우려가 있는 모든 지하차도에 자동으로 차량 진입을 막는 ‘스마트 지하차도 차량차단시스템’을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부산에 집중호우가 내리면 공무원의 의사결정이나 별도의 절차 없이 자동으로 차량 진입을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 차량차단시스템이 설치되면 기존에 차량을 수동으로 통제하던 시스템이 대폭 개선돼 근무자가 없더라도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해 원격으로 즉시 통제조치가 이뤄지게 된다. 특히 지하차도 수위계와 연동해 전광판 경고와 경광등 점등과 경고 방송이 자동으로 송출되고 이어 원격으로 차량 진입차단기가 작동되는 구조다.
현재 행정안전부에 보고된 부산 위험 2·3등급 지하차도는 모두 32곳이다. 사망 사고가 난 초량 제1지하차도 등 29곳의 위험 3등급 지하차도는 호우 경보가 발령되면 행안부의 지침에 따라 즉각 통제가 시작돼야 한다. 사상구 삼락생태공원 지하차도 등 3곳의 위험 2등급 지하차도는 호우 주의보만 발령되어도 통제에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지난달 23일 집중호우 시 호우주의보에 이어 호우경보가 발효됐었지만, 부산지역 32곳 중 제때 통제가 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시는 지하차도 총 48곳을 전수조사해 침수 우려 29곳을 선별해 차단시스템이 설치된 8곳을 제외한 21곳에 스마트 지하차도 차량차단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했다. 스마트 차량차단시스템을 구축하는데 3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예산은 행정안전부에서 확보한 국비 5억원에 시비(특별교부금) 25억원을 더해 올해 말까지는 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간에는 지하차도별 전담 요원을 지정·배치해 폭우 등 재난 상황에 즉각 대응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