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기업 10개 중 9개가 경기도가 중앙정부 기관인 조달청의 나라장터를 대체하는 자체 조달시스템 개발·운영하면 이용하겠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공공기관도 10개 중 8개가 이용할 의향을 보였다.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물품 가격에 대해서는 구매자인 공공기관의 70%가,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입주해 판매하는 기업의 40%가 시장가 보다 높게 공급한다고 했다.
경기도는 지난달 2일부터 15일까지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입주한 250개 기업과 미입주기업 250개 등 500개 기업과 3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공조달시스템 이용 및 인식’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해 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경우 90%가, 공공기관은 80%가 경기도가 자체 공정조달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물품 가격에 대해서는 구매자인 공공기관의 70%가 ‘타 온라인 쇼핑몰 대비 단가가 높다’고 답했으며, 판매자인 입주기업의 40%도 단가가 높다고 했다.
경기도가 추진 중인 자체 공정조달시스템에 대해서는 조달시장 물품가격에 ‘시장단가를 적용해야 한다’에 기업의 79%, 공공기관의 80%가 동의했다.
입찰담합 등을 빅데이터로 모니터링해 불공정 행위를 사전에 발굴하는 조달시스템은 기업의 85%, 공공기관의 90%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달수수료 등 공공조달로 발생한 수입을 지방정부나 중소기업을 위해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80%가 동의했다.
김기세 도 자치행정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기업 및 공공기관 모두 조달시스템 독점으로 인한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경기도는 이러한 조달독점의 폐해를 해결하고 조달시스템간 공정한 경쟁을 통해 국민을 위한 조달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경기도 공정조달시스템 개발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방문, 전화, 이메일, 팩스 조사 등 병행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기업 ±4.4%p, 공공기관 ±13.1%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