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정원 확대에 반발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7일 오전 7시부터 총파업을 강행했다.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진료분야를 제외하지 않은 데 대해 정부는 강한 유감을 표했다. 오는 14일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전협의 공동파업이 예정돼있고, 정원 확대를 놓고 정부와 의사단체가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대전협은 이날 오전 7시부터 8일 오전 7시까지 24시간 동안 응급실과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유지 업무를 포함한 모든 전공의의 업무를 중단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다. 대전협에 따르면 회원 1만6000여명 중 약 70%가 파업에 동참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전날 대전협과 만나 필수진료 전공의라도 파업에서 제외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대전협은 교수들이 진료를 대체하는 식으로 파업을 진행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필수진료까지 포함해 진료를 중단하는 점을 매우 유감스럽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각 병원에 대체인력을 확보하고 근무 순번을 지정하는 등의 진료공백 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특히 응급의료기관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근무인력을 확보토록 조치하고 응급의료정보센터 홈페이지와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통해 진료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장점검에 나선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전공의들이 집단휴진에 돌입한 수련병원 중 하나인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을 방문해 “중증·응급환자에게 억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차관은 이날 오후 전북대병원을 찾아 “전국적으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는 등 응급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대전협과 ‘소통협의체’를 구성키로 합의한 복지부는 오는 11일 1차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대전협 관계자는 “정부가 어떤 근거로 의대 정원을 매년 400명씩 늘리겠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이런 부분을 협의체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의협에도 ‘보건의료발전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상태다.
의대정원을 놓고 정부와 의사단체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파업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대전협은 오는 14일 의협 총파업에도 동참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의대정원 증원 문제와 무관한 환자들이 억울하게 피해를 볼 수 있는 극단적인 방식 대신 대화와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