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TikTok)’을 몰아내기 위해 압박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도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틱톡 이용이 잇따라 중단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사이타마현은 지난달 20일 지자체의 틱톡 계정 이용을 중지하고 개재돼있던 모든 동영상을 삭제했다. 앞서 사이타마현은 현 설립 150주년을 홍보하기 위해 틱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이트댄스 일본법인과 협정을 맺고 영상을 공유해왔다.
오노 모토히로 사이타마현 지사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틱톡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됐다”면서 “현 차원에서의 틱톡 이용을 당분간 중단하고 정부와 국제 사회의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효고현과 고베시 역시 지난 3일부터 틱톡 계정 이용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고베시 관계자는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주의했으나 불안하다는 시민의 목소리가 있어서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당분간 운용을 중단한다”며 틱톡 이용 중단 이유를 밝혔다.
이들 지자체가 밝힌 틱톡 이용 중단 사유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주장과 맥을 같이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이 미국인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공산당에 넘긴다는 이유를 들어 틱톡 미국 사업부를 매각하도록 압박해왔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수 의사를 밝혔고 오는 9월 15일까지 인수가 완료될 전망이다.
일본 집권 자민당 의원들은 중국 기업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이용 제한을 일본 정부에 요구하기로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이같은 요구를 수용할 경우 틱톡은 일본에서도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다.
다만 일본 정부는 아직 특별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서 틱톡에 관한 질문을 받고 “사이버 안전에 관한 여러 동향에 항상 주의하고 있다”면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이 특정되는 정보 게시나 등록은 충분히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