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코로나19 여파를 뚫고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항공 여객 수요가 바닥을 치는 가운데 화물 부문이 ‘깜짝 실적’을 견인했다.
대한항공은 올해 2분기 잠정실적을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1조6909억원을 기록했지만 화물기 공급 극대화 등을 통해 1485억원의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전 세계 주요 항공사 중 2분기 흑자를 낸 건 대한항공이 유일하다.
대한항공의 2분기 실적은 화물 부문이 견인했다. 조원태 회장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 3월에는 여객기를 화물기로 활용하는 역발상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대한항공이 유지한 23대의 대형 화물기단은 코로나19 사태로 공급이 부족해진 항공화물 시장에서 위기를 극복하는 소방수로 떠올랐다. 조 회장은 항공화물 시장이 장기 침체와 과다 경쟁에 빠진 상황에서도 최신 고효율 화물기단을 구축해 경쟁력을 유지해왔다.
비용 절감을 위해 급여 반납·휴업 등에 동참한 임직원들의 노력도 흑자 전환에 기여했다. 대한항공은 2분기 화물 부문에 전사적 역량을 쏟았다. 화물 직원들은 수요 유치와 효율적인 수송을 위해 애썼다. 정비 직원들은 화물기 가동률을 전년 대비 22%까지 높였고, 운항승무원들은 장·단거리 노선, 오지 등을 가리지 않고 안전운항과 정시수송에 매진했다.
대한항공은 하반기 화물기 가동률을 더 높이고, 글로벌 생산기지의 거점으로 떠오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늘려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여객기의 화물 전용편 공급도 추가 확대한다. 오는 9월 이후에는 여객기 좌석을 떼어내고 화물기로 이용하는 방안 등도 추진한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