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찬을 받아 영상을 촬영하고도 광고라는 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고 구독자들을 기만한 이른바 ‘뒷광고’ 파문이 유튜브계를 뒤흔들고 있다.
268만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먹방’(먹는 방송) 유튜버 쯔양은 광고비를 받았음에도 마치 광고비를 받지 않은 것처럼 영상을 구성하고 표기도 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일자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쯔양은 6일 유튜브 채널에 ‘유튜브 방송을 끝마치도록 하겠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려 “방송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됐던 시기에 몇 개의 영상에 광고 표기를 하지 않았다. 이는 명백하게 잘못된 바이며 이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방송을 그만두겠다고 밝히면서 “내가 저지른 잘못에 대한 질타가 아닌 ‘몰래 뒷광고를 해왔다’ ‘탈세를 해왔다’ ‘사기꾼’ 등 허위 사실을 퍼트리는 댓글 문화에 지쳐 앞으로 더는 방송 활동을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이어 “최근 욕지도에서 촬영한 10개 영상을 업로드한 이후 더 이상 영상은 없을 것”이라며 “여태까지 봐주신 분들게 정말 죄송하고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인기 유튜버인 문복희, 양팡, 햄지 등이 유튜브 채널을 통해 광고 표기 누락 사실을 인정하며 줄줄이 사과했다.
파문의 시작은 스타일리스트 한혜연과 가수 강민경이었다.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큰 호응을 얻었던 이들은 광고주로부터 돈을 받고도 마치 자신이 선택해 산 것처럼 콘텐츠를 만들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구독자를 기만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하는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 개정안’에 따르면 앞으로 관련 콘텐츠에 금전적 지원, 할인, 협찬 등 구체적으로 어떤 경제적 대가를 받았는지 명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