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친문’으로 꼽히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은 지난 4일 정부의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 발표 이후 의원총회에서 “주민들과 마포구청, 지역구 국회의원과 단 한 마디 사전 협의 없이 이렇게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마포구 상암동에 이미 임대비율이 47%에 이르고 있다”며 “여기에 또 임대주택을 지어야 하나”고 따졌다.
정부 대책에 반기를 든 정 의원의 발언을 두고 민주당 일각에서는 “임대주택이 지역구에 들어오면 집값이 떨어진다는 지역 이기주의”라며 “지역구 의원이 지역구민의 일차적 반응을 그대로 들고 오면 당정 입장에서도 받아주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단순히 지역구민들의 지역 이기주의라고 규정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상암동 일대에 들어오는 주택 공급은 총 6200만호다. 서부면허시험장 부지 3500호, 상암DMC 미매각 부지 2000호, 상암자동차검사소 부지 400호, 상암견인차량보관소 부지 300호를 합친 규모다. 이는 서울시에서 노원구의 태릉 골프장 부지에 1만호가 들어온다는 계획 다음으로 큰 규모다.
DMC 미매각 부지는 133층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건설 계획이 있었던 곳이다. 마포구 관계자는 “상암지역에는 이미 임대주택이 많이 들어왔지만, 지역구민은 랜드마크 건설 호재에 대한 기대로 큰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다”며 “그런 부지에 랜드마크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임대주택을 공급한다는 것은 지역구민 입장에서 화가 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상암동에는 이미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상암월드컵파크 아파트 단지 9~12단지를 통해 2181세대를 공급하는 등 상당수의 임대주택이 들어와 있다.
당정은 태릉 골프장 부지의 주택 공급 계획과 관련해 노원구 지역 국회의원들과 사전 협의를 진행했지만, 정 의원 및 마포구와는 사전 협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정 의원은 “당이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사전 협의 없이 자신의 지역구에 불리한 계획이 발표되자 공개적으로 반발한 것이다.
민주당 정책위 관계자는 “이런 반발을 예측하고 있었지만, 공급 대책이 사전에 유출되면 혼란을 초래할까봐 사전 협의도 조심스러웠다”고 해명했다.
민주당 소속 유동균 마포구청장(사진)은 5일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서 마포구 계획을 제외해 달라”며 “미래 일자리 창출과 지역 발전에 사용해야 할 부지까지 주택으로 개발하는 것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호소했다. 유 청장은 “강남 집값을 잡겠다고 마포구민을 희생양으로 삼는 일방적 발표는 마포구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