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일각에서 ‘1948년 건국론’이 다시 제기됐다. 지난달 통합당은 새 정강·정책 초안에 임시정부를 담아 1948년 건국론에 대해 선을 그었는데, 이를 내부 구성원이 다시 반박한 셈이다.
정경희 통합당 의원 주최로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나라 만들기 1919~1948’ 토론회에서는 “1948년 건국을 부정하는 세력이 있다”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문재인정부는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의 건국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 의원은 인사말에서 “대한민국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자유와 번영을 누리고 있는데 역설적으로 대한민국 건국을 좌익이 부정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략적으로 들고나온 것이 1919년 건국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나라가 망한 1910년부터 1945년까지가 해방을 위해 일본과 싸운 항일 투쟁시기였다면 1945년부터 1948년까지는 나라를 세우기 위해 소련 및 국내외 공산주의자들과 싸운 반공투쟁시기”라며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은 항일뿐만 아니라 반공을 통해 세워진 나라”라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전희경 전 의원도 “건국을 부정하는 자들에게는 목적이 있다”며 “북한식 논리에 우리민족끼리라는 정서를 대한민국에 교묘하게 스며들게 하기 위한 고리가 바로 건국의 부정에 있다”고 했다.
이들의 주장은 ‘3·1독립운동 정신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담은 통합당의 새 정강·정책 초안과도 결이 다르다. 당내에서는 정강·정책 개혁 작업의 마무리를 앞두고 다시 건국절 논란이 재점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통합당 정강·정책 특위 관계자는 “건국절 논란은 이미 다 끝난 논쟁”이라며 “정강·정책 개정은 무난히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