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레년→광대→나쁜년…12세 이용가 게임이 쓴 용어들

입력 2020-08-05 18:20
카카오게임즈 모바일게임 '가디언테일즈'가 "이 걸레 X이"(왼쪽·여성비하 표현은 기자가 모자이크 처리했음)라는 대사를 "망할 광대 같은 게"(오른쪽)로 수정했다가 돌연 '페미 프레임'에 휩싸였다. 연합뉴스

*본보는 게임사 측의 어휘 선택이 적절했는지 독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비속어 표현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게임 ‘가디언 테일즈’가 게임에 나오는 여성 비하 표현을 수정했다가 남초 게이머 집단의 비난을 받고 원래의 여성 비하 표현으로 재수정하는 촌극을 벌였다.

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가디언 테일즈는 지난달 30일 추가된 이벤트 스테이지에 나오는 문장인 “이 걸레년”이라는 대사를 지난 2일 “광대 같은 게”로 변경했다. 이용자들이 국내에서 12세 이용가로 서비스되는 게임에 사용되기에는 부적절한 표현이라는 점을 지적했기 때문이다. 영어 원문으로는 “You whore(성매매 여성)”로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자 상당수의 남성 이용자들은 게임사를 집중공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광대’는 급진적 페미니스트 집단에서 한국 남성을 비하할 때 쓰는 표현”이라며 “카카오게임즈 내부에 급진적 페미니스트가 있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남성 게이머들의 페미 사냥이 이어지면서 구글 플레이스토어 평점이 5점 만점에 4.9점이었던 가디언 테일즈는 이틀 만에 평점이 2.2점으로 추락했다.

결국 5일 카카오게임즈는 남성 게이머의 여론을 수렴해 “광대 같은 게”라는 표현을 “이 나쁜 년”으로 재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걸레라는 단어는 빠졌지만 이번엔 원래의 여성 비하 표현이 살아났다. 아무도 남성 비하의 뜻으로 사용하지 않는 ‘광대’라는 표현을 피하기 위해 모든 여성에게 분명한 욕설인 ‘년’을 다시 쓴 것이다.

가디언 테일즈 공식 카페 공지 캡처

이에 대해 가디언 테일즈 이시우 사업본부장은 공지를 올려 “‘광대’는 가디언 테일즈가 게이머들 외에 다른 곳에서 불필요하게 화제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서둘러 안전한 단어를 선택하려다 저지른 실수”라며 “해당 결정을 한 직원들 중 특정 단체 소속이거나 특정 단체에 편향된 직원은 한 명도 없음을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당분간은 어떤 노력에도 불구하고 깨진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한국 가디언 테일즈 실무 담당자들을 교체하려고 한다”며 “새로운 각오와 다짐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약속드리겠다”고 전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도 “게임 내 일부 대사 변경 과정에서 이용자분들께 심려를 끼치게 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철저한 검수 등으로 이용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이용자들과 소통하는 서비스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광대라는 단어가 남성을 비하하는 용어로 쓰인다는 건 확인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인 반면, 게임사가 다시 사용한 단어는 분명한 여성 대상 욕설이라는 점에서 게임사의 조치가 납득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왔다. 게임업계가 주 이용자인 젊은 남성의 눈치를 보고 공공연히 여성 혐오를 전시했다는 비판도 쏟아졌다. 한 네티즌은 “게임의 주 이용자층인 젊은 남성 커뮤니티 여론에 게임사 측이 사실관계와 무관하게 굴복하는 사례가 또 하나 추가됐다”고 자조했다.

앞서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남초 게이머 집단이 게임 개발진에 페미니즘 프레임을 씌우거나 페미니스트를 색출하는 행위를 게임계의 대표적인 인권 침해 사례로 결론 내린 바 있다.

황금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