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수입사들이 웨이브·티빙·왓챠 등 국내 OTT 플랫폼의 저작권료 배분방식에 반발하며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다.
영화 수입사 13개사가 모인 영화수입배급사협회는 지난달 ‘변화하는 한국 영화시장의 독자적 VOD 생존방법, VOD 시장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대처 방안’이라는 제목의 공청회를 열고 웨이브와 티빙, 왓챠 등 국내 OTT에 영화 콘텐츠 서비스 중단을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수입사들이 제기한 문제는 OTT의 콘텐츠 관람료 결제 방식이다. 대부분의 국내 OTT는 월마다 일정 금액을 내고 영상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관람하는 예약 주문형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 예능 등 전체 영상 콘텐츠 시청 수에서 비율을 따져 저작권료를 정산하는 방식이 영화에 절대적으로 불리한 수익 배분 구조라는 주장이다.
수입배급사협회는 “드라마나 예능은 1시간 이하의 러닝타임이고 전편을 관람하기 위해 여러 회차를 봐야 하지만 영화의 경우 2시간 분량을 단 한번 관람하기 때문에 전체 매출에서 관람 회차 수 비율을 나누는 정산 방식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화 한 편을 보는데 IPTV 방식으로 건당 3000원이 결제될 때 국내 OTT 예약 주문형 방식에서는 편당 100원 이하의 저작권료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대표적인 해외 OTT인 넷플릭스는 시청 시간이나 횟수를 따지지 않고 판권 계약시 정산을 마친다. 수입배급사협회는 현재의 디지털 콘텐츠 공급 방식이 국내 주류로 자리잡을 경우 영화 산업이 무너질 것이라면서 “OTT 서비스가 발달한 일본과 동남아 등은 부가판권 시장이 몰락했고 이는 자국 영화시장의 위축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수입배급사협회는 국내 OTT 플랫폼들이 영화를 위한 개별 과금 시스템을 마련하거나 투명한 정산 시스템을 공개할 때까지 콘텐츠 공급을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단체는 한국영화산업 디지털 유통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제작사·배급사·수입사·디지털유통사·OTT 플랫폼 등이 참여하는 대규모 공청회를 이달 중에 열 것을 공개 제안하기도 했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