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사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학교 졸업앨범에 실리는 교사 사진을 최소한으로 줄이거나 아예 싣지 않도록 하자는 논의가 교육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박사방 운영에 가담한 사회복무요원이 고교 담임교사를 스토킹하고 협박한 사실이 알려지고, 코로나19 상황에서 원격 수업을 한 교사들의 얼굴 사진과 신상 정보가 유포된 일이 논의의 계기가 됐다.
최근 서울 성동구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그동안 졸업앨범에 전 교직원들의 사진을 넣어왔던 관행을 없애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교사 다수가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이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놨기 때문이다.
반면 학부모들은 “졸업앨범은 아이들이 은사님을 추억하는 데 필요하다”며 졸업앨범에 교사의 사진을 싣는 기존 관행을 이어나갈 것을 주장했다.
서울교사노조가 지난 4월 전국 교사 8122명을 대상으로 학교 졸업앨범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0.6%가 ‘본인의 사진 자료가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불안하다’고 답했다.
지난달 부산교사노조가 진행한 설문조사에는 ‘졸업앨범에 본인의 개인정보(사진)를 제공하고 싶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1035명 중 91.6%를 차지했다.
서울 구로구의 한 초등학교 관계자는 올해부터 6학년 담임교사를 제외한 교사 사진을 졸업앨범에 넣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중학교는 올해부터 학급 단위로 졸업앨범을 제작하기로 했다. 교사들의 개인정보 침해 우려는 물론 학생들의 개인정보 유출 위험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일부 교사들은 이러한 변화가 시대 흐름에 따라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 이모(25)씨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때 학생들이 교사의 얼굴을 캡처해서 온라인에 공유하는 등 일이 있어 초상권 문제를 의식하게 됐다”고 말했다.
장경주 서울교사노조 정책연구원은 “그동안 교사들은 맘카페를 통해 사진이 유포되는 등 문제가 발생해도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웠지만 최근 온라인 범죄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변화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며 “사진 등 개인정보가 오용되기 쉬운 환경이 된 만큼 이제 졸업앨범도 변화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박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