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15년째 표류 중인 어등산관광단지 조성사업 해법을 찾기 위해 주사위를 던진다.
4차 공모를 앞두고 상가면적 2배 확대를 예고한 가운데 이용섭 광주시장이 5일 생존권 위협을 내세워 조성사업에 강하게 반대하는 지역 중소상인들과 만나 담판을 짓기로 했다.
광주시는 “이용섭 시장이 5일 오후 지역상공인들로 구성된 ‘어등산관광단지 유통재벌 입점저지대책위(이하 대책위)’ 관계자들과 직접 만나 개발계획 방안을 설명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3차례 공모 과정에서 수익성 부족 등을 이유로 우선협상대상자 등이 잇따라 사업을 포기하자 지난 5월 상가면적을 2만4170㎡에서 4만8340㎡로 확대한 4차 공모 계획을 발표했다.
최대 2배 상가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되 최소 상가면적 제안자에게 평가과정에서 높은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개발사업자를 선정해 지역 중소상인들의 상권을 보호한다는 것이다.
또 상가면적 확대에 따른 중소상인들의 상권확보 차원에서 의류업종의 경우 기존 상가면적 2만4170㎡에 용적률 80%를 적용한 지상면적 1만9336㎡에 한해서만 허용하기로 했다.
5성급 특급호텔 건립을 전제조건으로 건립하되 200실 미만은 감점해 평가하는 방안도 덧붙였다.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됐지만 지금까지 제자리 걸음인 어등산관광단지 조성사업을 서둘러 매듭짓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시는 공공성 확보를 위해 개발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지역상권 상생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주민 친화계획, 관광단지 활성화 특화 전략 등의 평가 항목에 대한 비중도 높이기로 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지역 중소상인들과 면담에서 이 같은 4차 공모 방안 등을 전달하고 진정성 있는 설득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지역 중소상인들은 “시의 공모 방안은 대형유통업체를 노골적으로 유치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며 “상가면적 확대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대책위와 중소상인살리기 광주네트워크 등은 광주시가 코로나19 탓에 당초 예정한 주민공청회를 취소하고 민간 단체들과 어등산 관광단지 해법을 찾기 위한 민간 연석회의를 제안하자 탐탁치 않은 반응이다.
대책위는 지난달 28일 광주도시공사에서 진행된 비공개 회의에 불참하고 같은 시간에 일방적 사업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들은 상가면적을 3차 공모 당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해 대형 유통업체로부터 지역상권을 지켜야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중소상인들의 매출감소 등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시장과 지역 중소상인들이 최종 담판 성격의 면담에서 어떤 접점을 찾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어등산 관광단지 조성사업은 군부대 포 사격장이던 어등산 41만7531㎡ 부지에 휴양문화시설, 공공편익시설, 특급호텔 등을 갖춰 관광자원화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4년여간 불발탄 제거 등에 시간을 허비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민간사업자와 소송을 벌이는 등 장기간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 7월 3차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가 된 서진건설은 이행보증금 분할납부 등을 요구하며 협약체결을 늦추다가 결국 지위를 박탈당한 후 현재 소송을 진행 중이다.
시는 어등산 관광단지 조성사업 재공모 요건, 심사기준 등을 논의한 뒤 다음달 공모를 거쳐 늦어도 올해 연말 안에 새로운 사업자에 의한 조성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이 시장은 “어등산 관광단지를 찾는 관광객들이 인근 상점과 재래시장에서 지갑을 열면 매출이 덩달아 늘어날 것“이라며 “지역상권을 살리려면 공공성을 전제로 적정 수준의 상가면적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