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에 반대의견을 표명한 대한전공의협의회 김진현 부회장이 “이번 정책은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 부회장은 4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해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들이 7일 파업을 앞두고 있다”며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이유를 상세히 밝혔다.
김 부회장은 “의대 정원 확충은 정부에서 말하는 지역 의료인 부족 현상, 기피과의 인력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추가 선발하는 400명 중 300명을 10년 동안 지방에 의무적으로 근무시킨다는 안에 대해서 “10년 의무 기간을 둔다고 하지만 그 기간이 끝나면 모두 다른 곳으로 가려 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김 부회장은 10년 의무 기간을 ‘군대 복무’에 빗대면서 “10년만 지나면 지방을 탈출하겠다며 너도나도 수도권으로 몰리게 될 것”이라며 “이런 생각을 가진 의사들이 생기면 의료 질도 낮아질 것”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그는 “의무 복무 기간을 지금 계획보다 더 늘리는 것도 어느 정도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면서 “의무 복무 기간을 30년으로 늘리거나 의사 공무원을 뽑는 게 어떻냐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또 “수도권에 있는 의사들이 많다”면서 “그분들이 자발적으로 지방으로 내려올 수 있는 그런 방법이 같이 고민됐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덧붙였다.
의사를 더 많이 뽑아서 국민에게 나쁠 게 없지 않냐는 앵커의 지적에는 “무분별하게 의사 수가 늘어나게 되면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의료비 폭증 등 상업성을 노린 의사들이 많아질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앵커가 “파업으로 인해 의료 공백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현 상황을 짚자 김 부회장은 “파업을 하더라도 의사로서의 의무를 버리지는 않겠다”며 “응급의학과 전공의 등 필수 의료 부분 인력은 유지하려 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