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나도 일선 학교에서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이 이뤄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블렌디드 러닝’을 지속가능한 우리나라 교육 방식으로 끌고 가겠다는 입장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7일 “코로나19 등 감염병 상황이 아니더라도 블렌디드 러닝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유·초·중등과 고등교육을 구분한 미래 교육 방향 및 실행계획을 이달 중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 주엔 출결·평가·기록 방식을 구체화한 종합 학사운영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유 부총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례 없는 원격수업을 실시했지만 원격수업을 대면수업과 병행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대면수업을 기본으로 하되 원격수업의 장점을 적극 활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의도다.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해 원격수업으로 대신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대학 입시만을 쫓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과감히 벗어나자는 취지다.
유 부총리는 ”매일 등교를 하더라도 교사가 토론 수업을 위해 원격으로 자료를 배포하는 등 미리 준비하고, 대면 수업에서 다 같이 모여 토론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실감형 인공지능(AI) 등 기술을 적용해 멀리 나가 체험해야 하는 실습수업을 원격 콘텐츠로 하는 등 수업의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렌디드 러닝’의 지속성을 담보하고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2022년 교육과정 개편은 이미 계획돼 있었지만, 코로나19를 통해 제도개선·규제·시스템 문제 등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을 훨씬 더 구체적으로 고민하게 됐다“며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을 본격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유 부총리는 유·초·중등 원격수업의 한계로 지적됐던 학습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교육청과 긴밀히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유 부총리는 “시·도교육청별로 대안을 만들고 있는데 효과적인 사례는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면서도 “단순히 학습 격차로만 보기 어려운 문제들도 있으므로 중장기 관점에서 촘촘한 대안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달라진 교육 환경을 고려해 ‘교원 수급 정책’과 ‘교원 양성 체계’도 개편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교사 양성 체계로는 교원들이 변화된 미래 교육 내용을 충분히 배울 수 없다”며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를 중심으로 관계기관이 협의하면서 올해 말까지 교원 양성 체계 문제와 관련한 사회적 협의를 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교사 수급 새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교육회의와 시·도교육청이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