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북항 2단계 항만재개발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부산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부산시는 해양수산부 주관 ‘부산항 북항 2단계 항만재개발사업 계획 평가’에서 부산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부산시 컨소시엄은 부산시를 대표사로, 부산항만공사(BPA),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KORAIL), 부산도시공사(BMC)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평가 대행 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진행한 사업계획평가에서 부산시 컨소시엄이 단독 제안한 사업계획이 총점 100점 중 92.88점을 받았다. 우선협상대상자는 사업계획서 평가가 80점 이상이면 통과다.
평가는 개발·재무계획, 관리·운영계획 분야를 평가했다.
시는 북항 재개발사업과 원도심 연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고, 공공 개발 비율 확대로 난개발을 최소화했으며, 북항 통합개발 사업과 연관된 모든 기관이 참여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신뢰성이 확보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계획, 인허가 등 행정적 역할뿐 아니라 국내외 투자유치, 2030 엑스포 유치, 국비확보, 시민 소통 등을 컨소시엄 대표사로써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재무적 총괄기관으로 항만개발과 사업총괄 관리를 맡는다. 도시개발 경험이 많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부산도시공사는 보상과 조성, 분양업무를 맡고 한국철도공사는 철도시설 재배치와 이전지 개발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해수부와 정부 협상을 통해 북항 2단계 사업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나, 시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발되도록 ‘북항 재개발 범시민추진협의회’를 꾸려 시민 의견수렴도 선행할 계획이다. 또 도시 경관과 공간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도시·건축 TF팀’도 발족할 예정이다.
한편 부산항 북항 2단계 항만재개발사업은 사업비 4조4000억원을 들여 228만㎡(육지 144만1000㎡, 바다 83만9000㎡)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올 하반기 정부 협상과 협약을 마치고, 내년에 사업시행자를 지정한 뒤 2023년 하반기 착공할 예정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