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대학과 지자체가 한국형 뉴딜사업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전남대와 조선대 등 15개 지역 대학과 32개 기관, 광주시와 전남도 등이 참여한 지역혁신 플랫폼을 통해 장기적 지역발전을 이끈다는 것이다.
광주전남지역대학교 총장협의회는 “대학·지자체간 협력체로 구성된 광주전남지역사회 혁신 플랫폼이 최근 전남대 용지관 컨벤션홀에서 출범식을 갖고 포스트 코로나19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K-뉴딜의 시작, 광주·전남 지역혁신 플랫폼사업’이라는 제목을 달고 제3회 지역사회 포럼을 겸해 열린 출범식은 코로나19를 감안해 참석자를 최소화하고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했다.
지역발전 혁신엔진이 될 지역혁신 플랫폼 출범식에서 각 대학과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는 한국형 뉴딜사업에 발맞춘 핵심산업 육성 목표와 지역혁신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사업을 총괄하는 대학교육혁신본부를 꾸린 전남대는 에너지신산업의 경쟁력을 키워 광주의 친환경자동차, 공기산업이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전진기지 역할을 맡기로 했다. 목포대는 미래형 운송기기 핵심분야를 주도해 전남의 조선해양 신소재, e모빌리티 산업 등과 협력관계를 구축한다.
또 순천대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초당대는 미래지능형 모빌리티 신산업·미래형 에너지분야, 동강대는 기계자동화 분야의 산업 인력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지자체장인 시장과 지사, 총괄대학 정병석 전남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지역협업위원회’는 전반적 운영 사항을 최종 결정하고 산하 총괄운영센터는 전담인력과 각 기관별 파견인력으로 구성돼 실무를 담당한다.
대학·지자체가 양 날개가 된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과 광주전남지역 혁신 플랫폼은 종전 기업 중심의 산업발전뿐 아니라 대학이 주축이 된 지역산업 혁신을 이뤄보자는 것이다.
각 기업과 연구소, 시·도교육청, 테크노파크, 상공회의소,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다양한 지역혁신 관련 기관들도 참여해 지역발전의 주춧돌을 놓게 된다. 한국전력 등 지역이전 공공기관들도 각급 학교, 대학 교육과 연계해 고급인재 육성을 돕게 된다.
광주·전남지역은 지난달 교육부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구성해 지원한 10개 중 3개의 플랫폼을 뽑아 확정한 지역혁신 사업에서 유일한 광역 시·도 복수형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광주·전남지역은 앞으로 교육부로부터 478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대학·지자체간 긴밀한 협업체계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 산업체계를 개편하게 된다.
교육부는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지역에 원활한 투자유치를 돕기 위해 ‘규제샌드박스’ 체제를 도입해 대학혁신과 지역산업의 혁신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연내 개정할 계획이다.
김혁종 광주대 총장(광주전남 총장협의회 회장)은 “지역혁신 플랫폼은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이 지속적으로 상생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지역대학들은 향후 각자 강점분야를 앞세워 상호 학점을 주고받는 ‘공유대학’ 체계도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