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할 이유 못찾아” 이수정, 통합당 성폭력 특위 합류한 이유

입력 2020-08-03 10:04
이수정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뉴시스

이수정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미래통합당의 성폭력대책 특별위원회에 합류한 이유에 대해 “현주소를 생각할 때 당을 가리면서 입법 지원을 해야 할 이유를 잘 모르겠더라”고 답했다.

이 교수는 3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미래통합당 성폭력대책 특위에 어떻게 합류하게 됐나’라는 질문에 “통합당이 ‘이런 특위를 만들건데 참여해서 도움을 줄 수 있느냐. 정책제안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전화로 제안했다”며 “제가 통합당 일을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잠깐 망설였다. 하지만 굳이 ‘NO’를 해야 할 타당한 이유를 못 찾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20대 국회에서 통과된 n번방 방지법·스토킹 방지법 입법 실패 등을 거론하며 “20년 동안 여성피해를 어떻게든 보고하고 실상을 알리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현주소를 생각할 때 당을 가리면서 입법을 지원해야 할 이유를 잘 모르겠더라. 앞으로 정치를 할 생각도 없다 보니 타당한 거절 이유를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과거에 미래통합당이 성폭력 문제에 어떻게 대처했는지 모르냐’는 일각의 비판이 나오는 상황에는 “충분히 타당한 비판이다”라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성폭력 특위에 제가 참여했다. 당장 내일부터 국회의원들을 교육해달라고 (하더라). 그런 교육의 필요성 이런 것들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총선 고양시갑에 출마하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와 정의당 총선 후보자들 및 당원들이 4월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텔레그램 성착취 음란물 유포 사건(n번방) 방지 및 처벌법 원포인트 국회 개최와 가해자 강력 처벌, 피해자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뉴시스

이 교수는 “n번방 사건에서 ‘사용자들과 가담한 모든 사람을 엄벌해야 한다’고 얘기했더니 민원 메일이 엄청나게 많이 왔다. ‘성을 산 사람은 처벌하고, 판 사람은 왜 안 하냐’는 취지였다. 성 착취인데 성을 팔았다고 생각하더라”며 “사회적 규범에 문제가 있구나 하는 걸 그때 많이 느꼈다. 나도 규범을 바꾸는 데 일조를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어 “(이 사건으로) ‘기성세대의 성매매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으니 젊은 친구들이 온라인상에 범죄까지 유발하게 했구나’라는 문제의식을 느끼게 됐다”며 “그런데 (성폭력특위 참여) 제안이 오니까 ‘내가 교육을 할 수라도 있으면 그때 느낀 문제의식을 이런 식으로라도 대응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단순하게 생각했다. 기회를 준다는데 거절해야 할 이유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 번도 (성폭력 예방) 교육을 안한 당이 통합당이었다.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성폭력대책특위에서 교육 말고 어떤 역할을 하냐’는 질문에는 “여러 입법사항을 더 강력하게 권고할 것이다. 예컨대, 위계나 위력에 의한 성폭력에 대한 여러 지침이나 법령 같은 것들, 2차 가해 행위 같은 것도 처벌조항이 없다”며 “이런 이들에 대한 정책제안도 할 수 있다면 어디서든 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성폭력대책 특위를 발족했다. 위원장에 김정재 의원을 임명했다. 양금희·서범수·전주혜·황보승희 의원과 이 교수 등 원내·외 위원 11명을 위촉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