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통해 개인정보 중국 유출 우려
트럼프 선제공격에 중국 보복조치 가능성
틱톡, 미국 사업 완전 매각 방침…협상도 난항
이번에는 중국의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이 미·중 충돌의 도화선이 됐다.
틱톡은 15초짜리 짧은 동영상을 제작·공유하는 앱이다. 글자보다 동영상에 익숙한 10∼20대로부터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틱톡은 중국의 인터넷 기업 바이트댄스가 운영하고 있다.
이런 틱톡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가 틱톡을 통해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와 같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틱톡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제재의 칼날을 들이댄 것이다.
그러나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에 대한 미국 내 사용금지 명령을 내릴 경우 중국도 보복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우려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 중국의 홍콩국가보안법 강행, 상대방 영사관 폐쇄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는 미·중 사이에 또 다른 논란의 불씨가 발생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우리는 미국에서 틱톡의 사용을 막을 것”이라며 “나에게는 그런 권한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 조치가 내려지느냐’는 질문에 “곧, 즉시 이뤄진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내일(1일) 문건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1일에는 틱톡 사용금지 명령이 내려지지 않았다.
AP통신은 틱톡의 미국 내 사용자가 수천 만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틱톡의 미국 내 다운로드 수가 1억 6500만건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정부가 틱톡을 통해 미국인들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져 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 국내법상 중국 정부가 기업의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해왔다”면서 “화웨이와 ZTE(중싱통신)에 대해서도 (틱톡과) 비슷한 우려가 제기됐었다”고 보도했다.
미국 의회는 중국 기업들이 중국 공산당과 연계돼 있기 때문에 중국 기업의 장비를 쓸 경우 기밀이나 개인 정부가 중국 정부에 유출된다고 의심하는 상황이다. 중국 정보통신 기업들의 급성장을 막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안보를 이유로 제재 조치를 취한다는 분석도 있다.
틱톡의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애플이나 구글의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퇴출시키는 방안과 틱톡 운영사를 ‘면허 없이 물건을 판매해서는 안 되는 기업’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NYT는 이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과 함께 ‘국제비상경제권법'을 활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1977년 발효된 국제비상경제권법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나 단체, 개인 등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다.
틱톡은 미국 내 사업을 전면 매각키로 결정했지만, 이 또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로이터통신은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미국 사업 매각 협상을 벌이면서 소수지분을 유지하려 했으나 백악관이 이를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바이트댄스는 미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MS가 인수하는 새로운 제안을 꺼냈다. 이 거래가 성사될 경우 앞으로 MS가 모든 미국인 이용자 정보를 보호할 책임을 떠안게 된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MS가 틱톡 인수 협상을 중단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MS의 틱톡 인수에 부정적인 의사를 나타내면서 MS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는 것이다.
AP통신은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야기한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런 (틱톡 사용금지) 결정은 많은 기업들의 경계심을 낳고 있다”면서 “제재와 정치적 결정들이 나타날 때 투자자들은 (수익성보다)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곳에 투자를 선택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흔하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