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 아들아” 화면 속 남자가 가마 2개를 보여줬다

입력 2020-08-01 02:01
화상으로 상봉한 아들과 친부모.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

미국에 입양된 30대 중반 아들과 친부모가 35년 만에 화상으로 상봉했다.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에 따르면 상봉의 주인공은 권영진(미국명 스티브 크노어·35)씨와 친어머니 김모씨, 친아버지 권모씨다.

1985년 가정형편이 어려웠던 김씨와 권씨는 생후 5개월인 아들을 미국에 입양 보냈다. 이들은 아들이 떠난 뒤 얼마 안돼 이혼했지만 언젠가는 아들을 찾겠다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연락을 이어왔다.

어머니 김씨는 죽기 전에 아들을 꼭 찾아야 한다는 생각에 지난해 입양인지원센터 사이트 ‘친가족 찾기’ 게시판에 아들의 입양 정보와 사진을 올렸다.

그로부터 1년 후 영진씨를 알고 있는 한 입양인지원센터 관계자가 게시글을 발견했고, 한국과 미국에서 DNA 검사를 진행해 핏줄이 닿을 수 있었다.

이들은 30일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사무실에서 아들과 상봉했다.

아들의 얼굴이 컴퓨터 화면에 비치자 친어머니 김씨는 연신 “미안하다”며 눈물을 터뜨렸다. 아버지도 “아들아, 아들아” 하면서 눈시울을 붉혔다. 아들의 옆에는 미국인 부인과 아이들이 있었다.

아버지 권씨는 “아들이 태어났을 때 머리에 가마가 두 개 있던 것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난다”고 말했다. 아들은 화면에 머리를 가깝게 대고는 두 개의 가마를 보여줬다. 그러자 아버지는 “맞다. 아들이 맞다”고 했다.

어머니는 “네 아버지가 웃을 때 들어가는 보조개 위치도 어쩌면 그리 똑같이 닮을 수 있냐”며 영진씨가 아들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아들은 담담한 태도로 “과거에 어쩔 수 없었던 부모님의 상황을 지금은 충분히 이해한다”며 “오늘 저를 만나기 위해 두 분이 함께 자리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고마움을 표했다.

권영진씨의 어릴적 모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

이들의 화상 상봉은 입양인지원센터가 제공한 통역사와 함께 진행됐다. 35년 세월과 두 나라의 먼 거리도 핏줄이 이어지는 것을 가로막지 못했다.

어머니 김씨는 “건강하게 성장해 가정을 이룬 아들이 대견스럽다. 남편을 먼저 저세상에 보내고 아들을 키워 준 양어머니께도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며 “아들아, 사랑한다”라고 아쉬운 작별 인사를 건넸다.

영진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좋아지는 대로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한국을 찾겠다”고 약속하며 “그때까지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박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