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착 3년 만 다시 탈북한 김모(24)씨가 북한 땅에 도착했을 당시 모습이 군 감시장비에 포착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전방부대 특성상 북쪽 지역부터 주시하기에 김씨가 배수로를 손쉽게 탈출하는 초기 상황 포착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인천 강화도 월미곳에서 발생한 탈북민 월북 사건에 대한 검열 결과를 발표했다. 해병대 사령관과 수도군단장을 엄중 경고하고, 해병 2사단장을 보직 해임하는 등 관련자를 징계위에 회부하겠다고도 했다.
합참은 북한 보도로 지난 26일 월북 사실을 인지했다. 이후 28일까지 검열 점검을 한 결과 수문 등 취약요인 보완대책, 경계 및 감시요원에 의한 의아점에 대한 적극적 현장조치, 열상감시장비(TOD) 등 감시장비 최적화 및 정상가동상태 확인 등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김씨는 18일 오전 2시18분쯤 택시를 타고 여미정 인근에 하차했다. 당시 200m 거리에 있던 민통선 초소 근무자가 택시 불빛을 봤지만 이를 확인하거나 상부에 보고하진 않았다.
이어 2시34분쯤 연미정 인근 배수로로 이동한 김씨는 2시46분쯤 한강으로 입수했다. 배수로 탈출에 12분밖에 걸리지 않은 셈이다. 배수로에는 이중 장애물이 있지만 철근 장애물이 낡고 일부 훼손돼 보통 체구의 사람이 통과 가능한 상황이었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한강에 입수한 후 조류를 이용해 북한 지역으로 향하기 시작한 김씨는 오전 4시 북한 도착에 성공했다. 특히 김씨가 연미정 소초 인근에서 한강에 입수 후 북한 땅에 도착하는 전 과정이 군의 근거리 및 중거리 감시카메라 5회, 열상감시장비(TOD) 2회 등 총 7차례 포착됐다.
합참 관계자는 “군 감시장비 전문가가 출발지점과 시간 특정해 조류 예상 이동경로 등 근거로 녹화영상 수차례 반복 확인해 다양한 부유물 속에서 영상을 식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합참은 TOD 녹화영상의 ‘백업’을 위해 실시간 저장되는 네트워크영상저장장치(NVR)의 전송 프로그램에 일부 오류 사실도 확인했다. 북한 보도로 월북 사실이 알려지기 전인 23일 TOD 반장이 녹화 기능 장애를 발견하고 저장용량 문제로 판단해 23일 이전 영상을 모두 삭제한 것으로 진술했다고 합참은 전했다. 다만 월북 사건 발생 사실 자체를 몰랐기에 고의성은 없었다는 게 당국 판단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