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신공항 시대 온다’ 지자체들 극적 합의

입력 2020-07-30 20:12 수정 2020-07-30 21:27
30일 경북 군위군청에 모인 이철우 경북지사(왼쪽부터), 권영진 대구시장, 김영만 군위군수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협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난항을 겪었던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하 통합신공항) 사업이 이전부지 신청 마감일을 하루 남기고 극적으로 타협점을 찾았다. 가장 어려운 숙제를 해결함에 따라 대구·경북이 그토록 바라던 신공항 시대를 맞이할 수 있게 됐다.

김영만 군위군수,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군위군청에서 만남을 가졌다. 오전에 만난 자리에서는 김 군수가 공동후보지(의성 비안면·군위 소보면) 신청 시 군위에 지원할 인센티브 내용이 담긴 공동합의문에 대구·경북 국회의원 모두와 대구·경북시·도의회 의원 모두의 서명을 받으면 공동후보지 신청을 검토할 수 있다는 조건을 걸었다. 김 군수는 그동안 공동후보지 신청을 거부했었는데 이날 마음을 돌린 것이다.

전날 대구시와 경북도가 군위를 설득하기 위해 발표한 통합신공항 관련 공동합의문에는 권 시장, 이 지사, 미래통합당 대구시당 위원장 곽상도 국회의원, 미래통합당 경북도당 위원장 이만희 국회의원, 대구시·경북도의회 의장이 서명했다. 김 군수는 공동합의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시·도의원 모두의 서명을 요구한 것이다.

공동합의문에는 민간공항 터미널, 공항진입로, 군 영외관사, 공항신도시, 대구경북 공무원연수시설, 군위군 관통도로 등 시설 조성과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을 약속하는 내용이 담겼다. 대구시와 경북이 군위군을 설득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제시한 것이나 다름없다.

세 단체장들은 이날 오후 다시 만남을 가졌고 김 군수의 요구대로 조건부 공동후보지 신청에 합의했다. 오전 만남 후 권 시장과 이 지사는 각자 지역 국회의원과 시·도의원들에게 공동합의문 서명을 부탁했고 국회의원들은 전원 서명에 동참했다.

앞서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군위·의성주민 투표에서 공동후보지가 뽑혔지만 군위는 주민들의 뜻을 거스를 수 없다며 단독후보지(우보면)를 고집했고 대구시와 경북도의 인센티브 제시에도 지금까지 단독후보지 뜻을 꺾지 않았다.

국방부는 이달 초 대구 군 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군위 단독후보지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공동후보지에 대해서는 오는 31일까지 판단 유예를 결정했다. 시간이 촉박해지자 대구시와 경북도의 민·관이 총출동해 군위 설득에 나섰고 결국 공동후보지 신청 결정까지 이끌어냈다.

김 군수는 전날 국방부에서 정경두 국방부장관을 만났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 때문에 통합신공항 사업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 군위·의성군은 31일 국방부에 공동후보지 유치 신청을 할 예정이다.

합의 후 김영만 군수는 “보증한 (인센티브)안을 꼭 지켜야 한다”며 “공동후보지로 돌아서게 된 것은 대구·경북의 발전을 위한 대승적 차원의 결정”이라고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군위군민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어려운 고비를 넘김에 따라 사업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2028년 민간·군 공항 동시 개항을 목표로 신공항 청사진이 될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2022년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군 공항 건설에 드는 사업비는 9조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비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마련하게 되는데 이전지역에 군 공항을 짓고 대구 군 공항 부지를 개발해 그 비용을 충당한다.

대구도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맞게 된다. 군 공항과 활주로를 같이 쓰는 민간공항(대구공항)이 경북지역으로 떠나면 대구 동구 검사동, 방촌동, 입석동 등을 아우르는 693만2000㎡(210만평)의 부지가 남는다. 여의도 면적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대구시는 이곳을 ‘수변 도시’와 ‘스마트 시티’로 조성할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