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을 덮친 코로나19 여파에도 LG전자의 상반기 영업이익이 4년 연속 1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LG전자는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미국의 월풀을 제치고 글로벌 가전시장에서 1위 자리를 지켰다.
LG전자는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조8338억원, 영업이익 4954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지난 7일 발표한 잠정 실적(매출 12조8340억원·영업익 4931억원)보다 다소 늘어난 수치다.
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12.9%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17.9% 줄었다. 영업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54.8%,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4% 감소했다. 다만 당초 증권사들이 예상한 영업익 전망치 평균인 4011억원은 20%가량 넘어선 성적을 내면서 선방했다는 평가다. LG전자 측은 “가전제품 매출이 4월에 저점을 찍고 5~6월로 오면서 상승세를 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사업부문별로는 생활가전(H&A) 사업본부 매출이 5조1551억원, 영업이익 6280억원을 기록했다. 경쟁사인 월풀은 2분기 매출은 40억4200만달러(약 4조9345억원), 영업이익 7700만달러(약 940억원)로 LG전자에 못 미치는 성적을 냈다. 북미 시장의 비중이 높은 월풀이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위축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면서 LG전자의 스타일러,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스팀가전이 확실한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LG 시그니처’로 대표되는 고급화 전략도 통했다.
TV를 필두로 한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본부는 매출 2조2567억원, 영업이익 1128억원의 성적을 냈다. OLED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호조로 시장의 우려를 넘어섰다. 당초 도쿄 올림픽·유로2020 등 스포츠 빅이벤트의 취소로 시장 수요 위축이 예상됐다. LG전자는 상반기 마케팅 비용의 효율적 집행과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 상승을 이끌어냈다고 봤다.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 사업본부는 새 스마트폰 ‘LG벨벳’의 출시로 전 분기보다 매출이 30% 이상 증가했다. 적자폭도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개선됐다.
LG전자는 하반기 코로나19의 재확산 가능성과 미·중 무역 분쟁 우려 등으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LG전자 측은 “위기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해 변화를 모색하고, 성장 모멘텀을 구축하는 가운데 전년 동기 수준의 성과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