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30억 달러 규모의 대북 지원을 명시한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의 고소·고발을 촉구했다. 수사를 통한 진상규명에 나서겠다는 포석이다. 다만 박 원장이 실제 고소·고발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30일 의원총회에서 “대북송금에 대한 비밀협약서는 정부가 찾아보니 없다고 했다. 있다면 이명박·박근혜정부 때 가만히 있었겠냐고 한다”라며 “그들이 정권 바뀔 때 남겨두고 나갔겠냐”고 말했다.
앞서 주 원내대표는 지난 27일 박 원장 인사청문회에서 출처를 ‘전직 고위 공무원’이라고 밝힌 이면합의 문건 의혹을 계속 제기하는 이유는 당시 정황상 이면합의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주 원내대표는 “대북송금 판결문에 우리가 베이징에서 북한 당국 만났을 때 20억 달러 내지 30억 달러의 사회간접자본(SOC) 재원을 제안했다고 나와 있다”며 “(관련) 문서가 남아있지 않겠느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원본 접근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뻔한 일을 가리려고 한다”고 꼬집었다.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주 원내대표가 제발 고소·고발 해달라고 답변하셨으니까 빠른 조치 부탁한다”며 “국민과 함께 실체적 진실을 밝혀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소·고발이 이뤄지면 수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실제 박 원장이 고소하거나 관련 고발을 할 경우엔 수사가 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박 원장의 고소 여부는 불투명하다.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문건이라고 선언한 상황에서, 수사로 인해 진상규명 작업이 본격화되면 의혹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통합당은 지난 2000년 중국 베이징에서 박 원장이 북측과 정상회담 개최를 약속한 ‘남북 합의서’와 별도로 30억 달러 대북 지원을 약속한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서’가 별도로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