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제위기 ‘투트랙’으로 돌파

입력 2020-07-30 15:23
30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제4차 비상경제상황 점검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충남도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고용 쇼크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가 일자리 창출·고용 유지 정책을 ‘투트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충남도는 30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포스트코로나 대응 비상경제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도에 따르면 충남의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지난달 기준 188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00여명(0.3%) 증가했지만, 경제활동인구는 2000여명 줄어든 125만7000명을 기록했다.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0.7%p 하락한 64%였다. 특히 15~64세의 고용률은 0.8%p 하락한 68.9%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전년 대비 1만6000명(6.1%), 광공업은 1만7000명(6.2%) 감소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역시 약 1만명(2.5%) 줄었다.

이에 따라 도는 경영 위기에 빠진 도내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단기적으로 생활안정자금등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장기적 대책으로 ‘한국판 뉴딜’ 등 국정과제와 연계한 정부 투자를 확대하고, 국내외 우수기업을 유치해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또 ‘충남형 상생 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경제위기 속에서 불평등이 다시 악화되며 임시직·일용직·특수고용노동자·영세자영업자와 같은 취약계층에 고용충격이 일어날 수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면서 고용안전망 구축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생활고를 겪지 않도록 강도 높은 고용유지 지원책을 마련하고, 위기기업을 지원·보호하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충남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이 자리에서 ‘포스트 코로나19 충남 일자리 문제와 대응 방향’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방만기 센터장은 “경제위기 상황에서는 신규창출 정책도 중요하지만 기존 일자리를 유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각 실국별 일자리 대책 및 대응방향을 제시했다.

주요 시책으로는 충남일자리상생펀드 설립, 직업훈련기관과의 협업체계 구축, 정부 뉴딜과 연계한 충남형 뉴딜일자리 마련, 온라인 비대면 의료체계 강화, 도내 주력산업 자체펀드 조성 운영, (가칭)고용위기대응기금 운용 등이 제안됐다.

최요철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장은 “충남의 경제는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수출·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 고용분야에서 경기 민감도가 특히 높다”며 “주력 제조업의 산업전환, 신산업 및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서비스업 육성 등 장기적인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