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과 전북지역에 31일 새벽 시간당 50㎜ 내외의 ‘물폭탄’이 예보됐다. 중부지방에는 다음달 초까지 장마가 이어진 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31일 오전 12시부터 9시 사이 충청남부와 전북에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50㎜ 내외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고 예보했다. 31일 오전 9시까지 충청남부, 전북북부 일부 지역에는 200㎜ 이상 많은 비가 오겠고 충청도, 전북, 전남북부, 경북북부의 예상 강수량도 50~150㎜로 예측됐다. 그 밖에 경기남부, 전남남부 등의 예상 강수량은 30~80㎜, 서울·경기북부, 강원북부 등은 5~40㎜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비구름대가 충청도에 위치하면서 충청도와 전라도, 경북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매우 강한 비와 함께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며 “산사태와 축대붕괴, 계곡과 하천 범람 등에 유의하라”고 당부했다.
31일 낮 동안 서울·경기남부 일부 지역에는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이 시간 동안 서울·경기남부의 예상 강수량은 10~60㎜로 예보됐다.
수도권에는 이번 주말 내내 비 소식이 있을 예정이다. 다음달 1일 아침 서울·경기도와 강원도를 시작으로 시작된 비는 이날 낮 동안 그 밖의 중부지방과 경북북부로 확대될 전망이다.
중부지방은 다음달 10일 이후까지 장마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다음달 5~6일쯤 정체전선이 북한에서 활성화돼 다시 중부지방으로 내려 올 가능성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장마가 마무리된 뒤 8~9월 전국에 무더위가 찾아오겠으며, 특히 남부지방과 제주도 중심으로 폭염이 예상된다. 기상청은 오는 8~9월 남부지방 중심으로 평년(1981~2010년) 5.5일보다 비슷하거나 많은 폭염일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덥고 습한 공기의 영향을 받아 오는 8월 평균기온은 평년(24.3도)과 비슷하거나 0~1도 높겠고, 작년(24.9도)과 비슷할 전망이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