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폐쇄한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이 텍사스대학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정보를 탈취하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텍사스대학 측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소속 교수·연구진에게 “미 연방수사국(FBI)으로부터 지난주 조사 통지를 받았다”며 이메일 한 통을 보냈다. 메일에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분야를 포함한 미국 대학들의 연구를 불법으로 입수하려 한 혐의와 관련해 FBI가 연구진들과 접촉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학 측은 FBI의 조사 대상을 알지 못하고, 연구진 정보와 연구 상황에 대해 FBI와 공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대학 측의 이러한 대응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일부 연구진이 중국과 연관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대학 제이슨 맥렐란 분자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미국에서 임상시험이 한창인 모더나와 노바백스의 백신에 쓰이는 합성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었는데, 이곳의 핵심 인력 중 한 명이 중국 출신의 왕녠솽 연구원이라고 SCMP는 설명했다. SCMP는 해당 이메일 내용을 확인한 뒤 대학 측과 접촉을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러한 의혹은 미국이 지난 24일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하자 중국이 이틀 만에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닫는 맞불 조치를 취한 가운데 불거졌다. 특히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최근 중국 총영사관을 두고 “스파이 활동과 지식재산권 절도의 중심지였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영사관 폐쇄에 앞서 미 법무부도 코로나19 백신 등 각종 기업 정보를 10여년간 노린 혐의로 중국인 2명을 기소한 바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