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기로…대구시·경북도 군위에 호소

입력 2020-07-29 17:47 수정 2020-07-29 19:29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만난 정경두 국방부 장관(왼쪽)과 김영만 군위군수. 연합뉴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하 통합신공항) 이전 부지 신청기한을 이틀 남겨둔 29일 대구시와 경북도가 군위군의 대승적 결정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또 군위군을 설득하기 위한 인센티브 내용이 담긴 공동합의문도 공개했다.

이날 경북도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 대신 단상에 오른 김진상 대구시 통합신공항추진본부장은 “통합신공항 건설은 수십년간의 경기 침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무너진 지역의 경제를 단번에 일으켜 세워줄 대구·경북의 역사적인 큰 희망”이라며 “510만 시·도민이 간절히 소망하는 통합신공항의 운명은 이제 며칠 뒤면 결정되는데 이 기간을 넘기면 사업은 사실상 무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군위와 대구·경북의 발전을 위해 군수와 군민들이 꿈꾸고 열망하던 도약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며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대구시의회의장, 경북도의회의장, 시도 국회의원은 어떠한 상황에도 군위군이 합의한 사항을 반드시 지키고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

권 시장은 군위군 통합신공항 유치위원회에 참석해 군위군민들을 설득하느라 이날 기자회견에 늦게 도착했다.

공동합의문에는 권 시장, 이 지사, 미래통합당 대구시당 위원장 곽상도 국회의원, 미래통합당 경북도당 위원장 이만희 국회의원, 대구시·경북도의회 의장이 서명했다. 공동합의문에는 민간공항 터미널, 공항진입로, 군 영외관사, 공항신도시, 대구경북 공무원연수시설, 군위군 관통도로 등 시설 조성과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을 약속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날 호소문과 공동합의문을 발표한 것은 오는 31일 이전부지 신청기한 전 군위의 설득을 이끌어내기 위한 조치다. 이날 오전 김영만 군위군수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만났지만 입장차만 확인하고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한 것이 이날 공동합의문 발표에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이날 오전 김영만 군위군수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 부지 선정과 관련해 정 장관을 만났지만 기대했던 해결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다.

군위군에 따르면 정 장관은 김 군수에게 공동후보지인 소보지역에 대한 주민투표를 제안했지만 김 군수는 사실상 이를 거부했다. 앞서 김 군수가 군 공항 영외 관사 설립 등 대구시와 경북도가 마련한 중재안에 대해 정 장관에게 물었지만 정 장관은 “아는바가 없고 군위군의 공동후보지 유치 의사 결정이 먼저 이뤄지고 중재안은 그 이후에 협의해 나가야 할 사항”이라고 못 박았다. 이에 김 군수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번에 군위군이 마음을 돌려 공동후보지를 신청하지 않으면 4년여 동안 애써온 노력이 물거품이 될 위기다. 앞서 군위군은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군위·의성주민 투표에서 공동후보지가 뽑혔지만 주민들의 뜻을 거스를 수 없다며 단독후보지를 고집했고 대구시와 경북도의 인센티브 제시에도 지금까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달 초 대구 군 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군위 단독후보지(우보면)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공동후보지에 대해서는 오는 31일까지 판단 유예를 결정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