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부지방에 두 달 가까이 홍수가 이어지면서 5000만명이 넘은 수재민이 발생했다. 싼샤댐 수위도 좀처럼 잡히지 않아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29일 펑파이 등 중국매체에 따르면 중국 응급관리부는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8일까지 장시·안후이·후베이성 등 27개 지역에서 5481만1000명이 수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158명이 사망·실종했고 376만명이 긴급대피했다.
또 가옥 4만1000여채가 붕괴하고 농경지 5만2000여㎢가 물에 잠기는 등 직접적인 재산 피해액만 1444억여 위안(약 24조6000억원)에 이른다.
올여름 중국 수재민은 이미 한국 인구수(약 5178만여명)를 넘어섰고, 농경지 피해도 한국 전체 면적(약 10만㎢)의 절반보다 많다는 것이다.
응급관리부는 “최근 5년 동기 평균과 비교했을 때 수재민은 23.4%, 긴급대피 인원은 36.7% 늘었다”면서도 “사망·실종자는 53.9%, 붕괴 가옥 수는 68.4% 줄었고 직접적 경제손실액은 13.8% 늘어났다”고 밝혔다.
한편 남부지방에 계속된 비로 창장(양쯔강) 유역 홍수 통제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싼샤댐 수위도 상승, 최고수위(175m)에 12m 정도 못 미치는 163.31m를 기록 중이다.
중국은 이번 양쯔강 유역 홍수를 세분화하고 있는데, 이달 2일 1호, 17일 2호 홍수가 발생한 데 이어 26일 3호 홍수가 발생했다. 싼샤댐 수위는 2호 홍수가 지나가던 지난 19일 오후 8시(현지시간)에 164.18m까지 올라갔다가 이후 방류량을 늘리면서 23일 오후 8시 수위는 160.15m로 내려갔는데, 다시 3호 홍수의 영향으로 위험 수위에 도달하고 있다.
지난 28일 오전 8시 후베이성 우한 부근 창장 물은 경계수위를 1.18m 넘은 28.48m까지 불어났고, 유량은 1초당 6만1200㎥로 싼샤댐 건설 후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싼샤댐이 위치한 후베이성 방재 당국은 “3호 홍수가 싼샤댐을 이미 지나갔다”고 밝혔고, 응급관리부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후베이성 스서우 아래 창장 중하류 등이 계속 경계 수위를 넘을 것"이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창장 중·하류에는 우한, 난징, 상하이 등 대도시를 비롯해 둥팅후·포양후·타이후 등 대형 담수호가 있는 만큼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