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이어 정의연도 “문제의 언론보도 제소 이어간다”

입력 2020-07-29 16:34
지난 5월 25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새마을청년연합 관계자가 소녀상에 윤미향 구속 촉구 팻말을 놓기 위해 경찰과 실랑이를 하고 있다. 이날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회계 투명성 문제 등을 2차 기자회견으로 폭로한 날이다. 연합뉴스

조국 전 법무부장관에 이어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허위·과장 언론 보도에 법적 소송도 불사하겠다며 칼을 빼 들었다. 신문, 인터넷매체뿐만 아니라 방송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해 문제시되는 기사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겠다는 것이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29일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50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지면이나 인터넷 기사를 중심으로 (제소를) 검토했는데 이제는 문제가 심하다고 판단되는 방송 보도도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의연은 그간 전 대표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재단 운영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다룬 13개 기사에 정정보도 신청을 했고, 이 가운데 11개가 정정보도로 조정이 성립되거나 강제로 조정됐다. 한 사무총장은 “나머지 기사 2건에 대해서는 법정에서 다투겠다”며 “왜곡된 기사가 나오면 수많은 사람이 그 기사를 읽지만 정정보도는 대부분 몰라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 뉴시스

조 전 장관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하나하나 따박따박”이라며 연일 허위 보도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반복했다. 그는 “허위·과장 언론 보도 및 온라인 글과 말을 접수하는 계정을 연 뒤 수많은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며 형사고소를 제기한 3명의 기자에게 민사소송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비판은 표현의 자유 영역으로 감수하되 허위나 모욕은 참을 수 없다는 뜻을 재차 드러내기도 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