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서 카트밀듯 이동식 기기로 전기차 충전한다

입력 2020-07-29 14:48 수정 2020-07-29 14:53
제주도가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실증작업에 들어간다.

제주도가 공간 점유없이 충전이 가능한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실증 작업에 들어간다. 2022년부터 전국 상용화와 해외 수출을 본격화하고, 2027년에는 누적 수출액 18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제주도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의 사전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29일부터 본격적인 실증작업에 착수한다고 이날 밝혔다.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정부의 2차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돼 이동형 충전 서비스, 충전 인프라 공유 플랫폼, 충전 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특화 진단 서비스, 충전 인프라 고도화 등 4개 분야에서 실증 준비를 해왔다.

지금까지 제주전역에 설치된 1만8000여개의 전기차 충전기는 대부분 고정식이다. 때문에 공동주택의 경우 협소한 주차공간에 전기차 충전 전용공간을 확보해야 해 입주민 간 갈등이 발생해왔다.

제주도가 실증에 들어가는 이동식 충전서비스가 도입되면 공간 점유 없이도 전기차 충전이 가능해진다. 손으로 밀어서 이동이 가능한 크기의 기기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탑재해 이용자들이 마트에서 카트를 쓰듯 자신의 주차 공간에서 충전을 하고 기기를 반납하면 된다.

또, 기존 고정식 충전기와 달리 충전 수요가 없을 때에는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충전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시스템이라 전력망 부하를 낮추고 기본 전기요금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 속도도 1회 40분 내외로 빠르다.

특히 최근에는 주요 선진국들이 10~50kW급 중·고속 이동형 충전서비스 초기 시장 선점에 나서면서 우리나라의 신속한 기술 대응이 요구돼 왔다.

실증이 완료되면 민간의 경우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대규모 공동주택 등에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는 에너지 저장장치와 배터리 관리시스템, 전기차 충전기, 이동형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 중 에너지 저장장치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산업부의 안전강화대책에 따른 관리수칙을 준수했다. 용량은 50kWh로 이하로 제한하고, 충전량은 용량의 70% 이하로 제어된다.

실증은 특구지정 시 부여된 부대조건에 따라 1, 2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올해까지 진행되는 1단계에서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충·방전 안전, 충전 속도 등을 검증한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2단계 실증에서는 이 같은 안전관리방안을 준수해 이동환경에서 실증을 진행하게 된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검증을 위해 충전 대상도 일반인 차량까지 순차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실증사업이 성공해 관련 규제가 해소되면 2022년부터 전국 상용화와 해외수출을 본격화하고, 2027년에는 누적 180억원 수출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0년 6월 기준 제주도 전기차는 1만9705대다. 전국 11만1307대의 17.7%에 해당한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