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 외교관에… 진중권 “K-변명, 박원순과 마찬가지”

입력 2020-07-29 14:21
뉴질랜드 한국 대사관 외교관의 성추행 의혹 사건 관련 뉴스허브 보도화면 캡처. 오른쪽 사진은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뉴시스

뉴질랜드 한국 대사관 외교관의 성추행 의혹 사건과 관련한 우리 정부의 입장에 대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K-변명”이라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29일 페이스북에 “한류의 맥을 이어나갈 다음 주자는 K-변명이다”라며 “무죄추정의 원칙. 황당한 게, 아니, 그 자를 일단 뉴질랜드로 보내 재판을 받게 해야 유죄인지 무죄인지 알 거 아닌가”라고 적었다.

이어 “재판도 안 받게 하고 영원히 무죄로 추정만 하겠다는 얘기인지. 결국, 영원히 무죄로 만들어 주겠다는 수작. 사유야 다르지만, 박원순 건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앞서 뉴질랜드 방송 뉴스허브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질랜드 주재 한국 외교관 A씨가 성추행 행위를 3차례 저지른 혐의를 받았는데도 한국 정부가 수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2017년 말 뉴질랜드 근무 당시 뉴질랜드 국적 직원의 엉덩이 등 민감한 신체 부위를 만지는 등 3차례 성추행한 혐의를 받는다.

뉴스허브는 “한국은 뉴질랜드 법원이 발부한 A씨에 대한 구속영장 집행, 사건 발생 당시가 촬영된 한국 대사관 CCTV 영상 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A씨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 감봉 1개월 징계를 내린 뒤 자체 종결했고 A씨는 현재 아시아 주요국 총영사로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외교부는 해당 외교관 개인이 판단할 문제라며 거리를 뒀으나, 국가 간 외교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이 커지자 부랴부랴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인사제도팀과 감사관실, 국제법률국을 중심으로 뉴질랜드 정부의 조사 협조 요청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재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 통화에서 이 문제를 언급한 것으로 확인돼 ‘국제 망신’이라는 비판이 따르고 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