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자연재해 위험지역에 ‘디지털 재해 조기경보 시스템’이 구축된다. 디지털 관측·계측기로 국지성 호우나 폭설, 지진 등의 조짐을 포착하고 피해를 예측해 주민들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행정안전부는 재해위험지역별 재난을 사전 예측하고, 주민에게 알리는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전국 위험지역 2500여곳 중 170여곳을 선정해 핵심 시설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총 288억원이 투입된다.
행안부는 인명피해 우려가 큰 지역을 ‘침수 예상지역’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위험저수지’ 등으로 세분화했다.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춘 디지털 관측·계측기를 설치해 맞춤형 관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예컨대 침수 예상지역에는 디지털 강우량계와 수위계, 변위계측기, 정보수집 장치,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마을 옥·내외 방송시스템을 설치하는 식이다.
관측·계측기는 설계기준 이상의 재해 징후를 잡아낸다. 징후가 감지되면 곧장 사물인터넷(IoT) 조기경보 시스템이 가동돼 주민들에게 대피하라고 안내한다. 재해 사진과 영상은 정부-지방자치단체가 공유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상황판에 실시간으로 올라온다. 과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해 홍수와 가뭄 피해를 예측하는 서비스도 구축될 계획이다.
그동안 재해 경보 시스템은 기상청 예보가 전부였다. 대략적인 기상 상황은 알 수 있었지만, 이마저도 최근 기후 변화가 심각해 예측이 어려워졌다. 한밤중이나 새벽에 재해가 일어나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