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역사 되돌아보다…노근리 사건 70주년

입력 2020-07-29 12:56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오른쪽)과 이시종(가운데) 충북지사 29일 오전 충북 영동군 노근리 평화공원에서 열린 노근리 사건 70주년 기념식에 입장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6·25 전쟁 중에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민간인 희생 사건으로 꼽히는 노근리 사건 70주년을 맞아 정부가 처음으로 주도하는 기념식이 29일 충북 영동군 노근리 평화공원에서 개최됐다. 그동안 노근리 유족회 등이 기념식을 주관했다.

‘평화와 화해의 큰 걸음으로’를 주제로 열린 기념식은 한국 무용가 박순영씨의 진혼무와 주요 인사의 헌화와 분향, 추모사 등으로 진행됐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영상으로 추념사를 전하고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등 주요 내빈이 추도사를 했다.

진 장관은 추도사에서 “노근리 사건 70주년을 맞아 안타깝게 희생되신 분들을 함께 기억하며 화합의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면서 “기념식이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 인권과 평화, 화해의 가치를 일깨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도 “노근리 민간인 희생사건은 아직도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비극으로 우리는 이들을 통해서 전쟁의 폐해를 뼈아프게 공감하고 있다”며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우리의 다음 세대에 계승해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의식을 굳게 가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시종 충북지사가 29일 오전 노근리 사건 70주년을 맞아 총탄의 흔적이 남아있는 쌍굴터널을 둘러보고 있다. 충북도 제공.

노근리 사건은 6·25 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경부선 철로 쌍굴다리에서 피난주민 수백명이 미군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다. 정부는 지난 1999년 진상조사를 시작해 2004년 노근리사건특별법을 제정했다. 유족 대표 등이 포함된 희생자 심사와 명예회복위원회도 구성했다. 2005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희생자 226명과 유족 2200여명에게 의료지원금을 지급했다. 2011년에는 사건현장인 쌍굴다리 일대에 평화공원이 조성됐다.

노근리 사건의 피해유족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노근리 국제평화재단은 노근리인권평화학술제, 노근리세계대학생인권평화캠프, 노근리평화상제정 및 시상 등 평화와 인권을 주제로 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올해는 70주년을 맞아 서울·광주·제주 등지에서 사건 관련 자료를 순회 전시한다. 연말에는 추모음악회와 국내·외 인권·평화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 등 기념행사도 연다. 노근리70주년 기념사업 추진단은 오는 11월 서울과 영동에서 노근리 글로벌평화포럼을 개최한다. 내년에는 노근리사건 유족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6·25 참전 미군 유족 등을 만나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는 한미평화국제교류와 명사 초청 토크콘서트를 가질 예정이다.

영동=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