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해고됐지만 실업급여 및 퇴직금을 정상 수령한 직장인은 절반에 그쳤고, 코로나19 이후 퇴직금을 받지 못한 비율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7월 19일~20일 이틀간 직장인 631명을 대상으로 ‘퇴직금 수령 경험’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가운데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해고 및 권고사직을 권유받은 비율은 전체 중 68.1%에 달했다. 해고유형은 권고사직(45.9%), 부당해고(29.9%), 정리해고·구조조정(24.2%) 순으로 집계됐다.
해고 경험자 2명 중 1명은 실업급여 또는 퇴직금을 정산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업급여를 받은 비율은 47.6%, 퇴직금을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46.6%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또 코로나19 사태 이후 실업급여 또는 퇴직금 지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왔다. 실업급여의 경우 ‘코로나 이전’ 수령비율은 49.9%인데 비해 ‘코로나 이후’ 43.4%로 6.5%P 낮아졌다. 퇴직금 역시 코로나 이전 48.9%가 지급받은 반면 코로나 이후 42.3%로 지급비율이 줄었다.
한편, 대기업 해고자의 77.6%가 퇴직금을 지급받은 반면 중견기업 54.3%, 중소기업 40.6%로 지급비율이 크게 낮아졌다. 실업급여 역시 대기업 수령비율 55.8%에 비해 중소기업은 44.7%로 저조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