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해양청 영일만항 여객선 유치 미루는 진짜 이유는

입력 2020-07-28 21:19 수정 2020-07-28 21:20

경북 포항지방해양수산청(사진)이 영일만항과 울릉 간 항로신설과 여객선 유치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항시 북구 흥해읍 주민들로 구성된 ‘흥해 여객선유치위원회’는 지난 15일 포항 영일만항과 울릉도 간 여객선 운항 요청서를 포항해양청에 전달했다. 흥해주민 2만281명이 서명했다.

포항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흥해지역 경제 살리기와 도시 균형발전 차원에서다. 울릉군 주민들도 대형선박 유치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포항해양청은 선석확보와 기존 선사, 일부 어민들의 반대를 이유로 시간만 끌고 있다.

항만물류과에서 여객선 운항에 대해 검토 후 지난 23일 선원해사안전과로 의견을 전달했다. 최종 결정은 내리지 못하고 있다.

또 포항의 한 선사가 지난 6월 26일 영일만항을 기항지로 해상여객운송사업 면허를 신청했지만 한 달 넘게 결정을 미루고 있다. 당초 지난 15일 처리하기로 했지만 돌연 다음 달 3일로 결정을 미뤘다.

포항해양청 관계자는 “어선 정박지를 여객선 부두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항만기본계획 변경이 필요하다”면서 “영일만항은 항만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어항법을 적용받는 국가어항과는 성격이 달라 여객부두 변경이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영일만항 어항 부두의 여유가 없고 물양장 시설도 부족하다”면서 “기존 선사들이 수익 감소 등을 이유로 반발이 심하고 일부 어민들도 반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이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여객선유치위원회 측은 선석확보는 어선부두와 물양장의 기능만 변경하면 가능하다는 견해다. 또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고 항만기본계획을 변경하는 조건으로 한정면허를 내주면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객선유치위원회 관계자는 “포항해양청이 어항부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을 찾기만 한다면 얼마든지 여객선 사업자를 공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어항부두의 여유가 없다고는 하지만 정작 정확한 자료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일부 어민의 반대에 대해서도 한 어촌계 계장은 “이미 흥해지역 인근 모든 어촌계가 총회를 통해 어항부두의 일부를 여객부두로 사용하는 것에 동의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또 “자유경쟁 체제에서 정부 기관이 기존 선사를 보호하고 일부 어민의 반발을 전체의 반발인 것처럼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