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이 “조국과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적개심에 불타 편향에 빠졌다”고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를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사회적 문제를 심리화하지 말라”며 반박했다.
신 의원은 28일 페이스북에 ‘진중권은 고릴라를 못 보고 있다’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그는 이 글에서 “진 전 교수는 검찰수사심의위원회가 한동훈 검사장의 수사 중단을 권고한 것을 놓고 대단한 일이라도 일어난 듯 호들갑을 떤다”며 “한 검사장은 소환 조사도 받지 않았고, 조사가 완료되지도 않았다. 주요 증거물인 본인 휴대폰 포렌식도 안 된 상태에서 수사 중단 결정이 내려졌다.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예전의 진중권이라면 이동재 전 채널 A 기자와 한 검사장의 통화 녹취록을 보면서 상당히 분노했을 것이다”라며 “범죄 계획을 스스럼없이 털어놓고 조언을 구하는 게 정상적인 기자와 검사로 보이냐”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이어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을 소개하며 “한 가지 일에 집착하면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편향에 빠진다는 걸 일깨운 실험이었다”며 “진중권을 보며 이 실험을 떠올렸다. 조국과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적개심에 불타 과도하게 집착하다 보니 편향에 빠져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신 의원은 또 “진중권은 툭하면 문재인 정부를 전체주의 같다고 말한다. 본인도 대학생 시절 전두환 군사독재에 저항하는 운동을 했기 때문에 전체주의가 뭔지 생생히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라며 “당시에는 사상과 양심의 자유, 언론과 출판, 집회와 시위의 자유가 억압됐기 때문에 진중권은 비합법 비밀운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 진중권은 어떤 부담도 없이 할 말, 안 할 말 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 의원은 마지막으로 “진중권은 ‘문재인 정권은 인민민주주의 정권’이라 말한다. 진중권은 학생 운동 시절 특정 정파 지도부로 ‘민중민주주의론’을 주창했다”며 “그 혁명이 성공했을 때 들어서는 정부가 인민민주주의 정권일 것이다. 진중권이 당시에 꿈꾼 인민민주주의와 비교했을 때 지금의 문재인 정권은 거리가 한참 멀다는 걸 잘 알리라 본다. 예전의 진중권이 그리울 때가 있다”며 글을 맺었다.
진 전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신 의원의 비판을 거론하며 “사회적 문제를 심리화하지 마라”고 반박했다. 진 전 교수는 이어 “정권이 국가 시스템을 망가뜨리는 일은 진중권 심리 바깥에서 이뤄지는 객관적 사태다”라며 “정권의 모든 실정을 진중권 마음 속으로 몰아넣어 감추려 하나. 해골에 물을 담아 드셨나. 이 분이 원효대사가 되셨다”며 비꼬았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이란?
실험 참가자들은 농구장에서 검은 옷과 흰 옷을 각각 3명씩 입은 사람들이 번갈아가며 농구공을 패스하는 1분짜리 동영상을 본다. 흰 옷 입은 팀의 패스 숫자만 세면 된다. 영상 중간에 고릴라 옷을 입은 사람이 가슴을 두드리고 지나간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릴라를 인지했을까?
이 실험은 사람이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는 작업 기억의 크기를 뜻하는 '작업 기억 용량'의 수준이 주의산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설계됐다. 연구 결과, 작업 기억 용량이 높은 그룹에서는 67%가 고릴라를 인지했지만, 작업 기억 용량인 낮은 그룹에서는 36%만 고릴라를 인지했다. 작업 기억 용량이 높을수록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물체를 더 잘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람이 관심을 집중적으로 기울이는 부분만 정보로 인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간의 인지능력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 참가자들이 고릴라를 보지 못하는 현상이나 운전 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교통사고 비율이 더 높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신의원은 진 전 교수의 ‘확증편향’을 지적하기 위해 이 실험을 인용했는데, 연구 목적을 고려하면 잘못된 응용으로 보인다.
실험 참가자들은 농구장에서 검은 옷과 흰 옷을 각각 3명씩 입은 사람들이 번갈아가며 농구공을 패스하는 1분짜리 동영상을 본다. 흰 옷 입은 팀의 패스 숫자만 세면 된다. 영상 중간에 고릴라 옷을 입은 사람이 가슴을 두드리고 지나간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릴라를 인지했을까?
이 실험은 사람이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는 작업 기억의 크기를 뜻하는 '작업 기억 용량'의 수준이 주의산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설계됐다. 연구 결과, 작업 기억 용량이 높은 그룹에서는 67%가 고릴라를 인지했지만, 작업 기억 용량인 낮은 그룹에서는 36%만 고릴라를 인지했다. 작업 기억 용량이 높을수록 주의산만을 유발하는 물체를 더 잘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람이 관심을 집중적으로 기울이는 부분만 정보로 인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간의 인지능력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 참가자들이 고릴라를 보지 못하는 현상이나 운전 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교통사고 비율이 더 높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신의원은 진 전 교수의 ‘확증편향’을 지적하기 위해 이 실험을 인용했는데, 연구 목적을 고려하면 잘못된 응용으로 보인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