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대문구(구청장 문석진)는 다음 달 31일까지 관내 소득이 없는 중장년 1인 가구에 대해 생활 실태와 복지 수요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구는 2017년부터 자체 특수사업으로 매년 시행해 온 ‘주거취약지역 거주 중장년 가구 조사’ 노하우를 바탕으로, 올해는 발굴 대상과 범위를 확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속 복지안전망 강화를 위해 실시하는 이번 조사의 대상은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지원 대상자(중위소득 100% 이하) 중 소득이 전무한 만 50~64세 1인 가구 주민 2629명이다.
지난해까지는 방문, 대면조사를 원칙으로 했지만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14개 동주민센터 복지담당 공무원들이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고 복지 욕구를 조사한다. 대상자 요청에 따라 방문 또는 동주민센터 내방 상담도 병행한다.
구는 이를 통해 올 8월 31일까지인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사용기간을 안내하고 대상자의 생활 여건을 파악한다. 필요할 경우 긴급복지 지원, 기초생활보장제도 맞춤형 급여 신청, 통합 사례관리, 방문 간호, 각종 민간 자원 연계 등을 통해 신속하게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서대문구는 2013년 ‘동 복지허브화’를 전국 최초로 시행하면서 ‘찾아오지 않는 주민도 찾아가 발굴해 도움을 드립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 내걸어 약 5만5000세대를 전수조사했고 1500여 세대를 발굴, 지원했다. 2016년 고시원 거주 주민, 2017~2019년 반지하와 옥탑방 등의 주거취약 가구 주민 등 4년간 모두 5000여 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2400여 명이 복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은 “이번 복지조사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에 처한 중장년 1인 가구를 적극 찾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