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찬일 “5년간 재월북 탈북자 11명? 100여명도 넘을 것”

입력 2020-07-28 10:55
(좌)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뉴시스 (우) 탈북민 김모씨. 국민일보DB

탈북민 출신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이 남한에 왔다가 다시 월북한 탈북민들이 100여명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안 소장은 28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통일부가 최근 5년간 재입북한 탈북민이 총 11명이라 했지만 실제로는 100여 명이 넘는다”면서 “중국이나 제3국으로 사라진 탈북민들은 300여명쯤 된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이들의 재입북 동기에 대해서는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다시 전체주의 문화 속으로 들어간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는 탈북민을 ‘옮겨진 화분’에 비유하면서 “한국에 와서 결혼도 못 하고 인간관계도 잘 형성하지 못한 사람들이 북한에서의 인연을 떠올리면서 월북을 시도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대학에 와서 공부를 하며 친구를 사귀는 20대, 자녀를 한국에서 공부시키려는 목적이 있는 40~50대와 달리 중간 단계에 있는 탈북민들은 이도 저도 아닌 생활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안 소장은 이들이 일종의 상사병, 우울증을 앓는 것 같다고도 설명했다.

안 소장은 최근 성범죄를 저지른 후 월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탈북민 김모(24)씨와 관련해서는 “한국에서 성범죄로 5년 정도 감옥에 갇히는 것보다 고향으로 가서 아는 사람들과 같이 살아보겠다는 단순한 심리로 월북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모씨가 북한으로 가면 어떤 처벌을 받냐는 앵커의 질문에는 “북한은 한국법을 적용받는 지역이 아니라서 김모씨가 성범죄로 처벌받을 리는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대한민국 자유를 다 누려본 사람을 일반 사회에 풀어놓지는 않기 때문에 김모씨를 격리하는 등 다른 방법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 소장은 탈북민들의 재입북을 막기 위해 탈북민 관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는 대안도 제시했다.

그는 “행정안전부에 속한 동사무소, 주민센터 등은 전국 각지에 분포돼있지 않냐”며 “탈북민 관리를 통일부가 아니라 행정안전부에서 해야 한다는 게 탈북민들의 의견”이라고 전했다. 인적자원이 풍부한 조직에서 탈북자 관리를 해야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