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8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박지원 후보자를 적임자라고 보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글쎄요”라고 운을 뗀 뒤 “지금 정보외교안보 라인에 그런 것(남북 간 협상)을 해낼 수 있는 분이 과연 있는지 아직은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보적인 생각이냐’라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박 후보자께서 물론 정치력이 뛰어나고 능력 있는 분인 것은 누구나 다 인정한다”면서도 “지금 상황이 북측에서 6·15 때 박 후보자와 상대했던 분들이 다 돌아가시거나 현역에서 은퇴했고, 당시 김정일 정권과 김정은 정권은 많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북 간의 협상이 다시 제대로 이뤄지려면 미국을 설득해 뭔가 북측에 내놓을 카드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결국 현재 상황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미국에 의심을 사지 않고 설득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박 후보자의 발언에도 견해 차를 보였다. 그는 “박 후보자는 일단 뭔가 합의라도 작은 거라도 성사되기만 하면 다행이라고 보는 것”이라며 “북미 간 합의가 되더라도 그것이 자기들끼리만의 합의, 그러니까 ‘통미봉남(通美封南·미국과 거래하고 남한은 배제)’이 된 상태에서의 합의면 나중에 우리에게 손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만 생각하면 좋은 일이지만 우리가 북방으로 진출하고 남북경협을 본격화하는 상황을 생각했을 때는 우리가 이 문제에 있어서 제대로 역할을 못 하면 북미 간에 좋은 합의가 있더라도 나중에 우리가 구경꾼 취급을 당하게 된다는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
야당 측이 주장한 30억 달러의 대북 차관 제공 의혹에 대해서는 “그런 액수가 북한으로 간 일이 없지 않나. 당시 그런 게 있었다면 나중에 대북 송금 특검 때 나왔을 것인데, 저는 어디선가 조작된 내용이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박 후보자의 학력 위조 의혹에 대해서는 “수상하게 의심하는 근거가 있는 것 같다”면서도 “그 당시가 사실 학력 위조나 부정 입학이 많았던 시기고 관리가 허술했던 때였다. 확실한 증거를 가지고 말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의혹 제기의 한계가 있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