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 차단을 위해 입국자들이 머무는 임시생활시설이 논란이 되고 있다. 임시생활시설은 검역에서 걸러지지 않은 확진자가 지역 전파를 일으키지 않게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해외입국자가 늘면서 시설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신규 지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시설 무단이탈 사례도 확인돼 주민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 대비 25명 발생해 총 확진자 수가 1만417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9명이 지역사회 감염, 16명이 해외유입 사례였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최근 2주간 증가해 왔다. 지난 2주 동안 발생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해외유입이 62.6%(436명)를 차지했다.
임시생활시설은 입국자 중 국내에 일정한 주거지가 없는 단기체류 외국인이나 시설격리를 원하는 접촉자가 생활하는 시설이다. 현재 중앙부처가 14곳(4458실)을, 17개 시·도에서 64곳(2760실)을 운영하고 있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중앙부처 운영 시설은 수용 가능한 잔여 객실이 31.4%, 시·도 운영 시설은 66.1%였다.
아직 객실 여분은 있지만 방역 당국은 해외 팬데믹(대유행)의 영향에 대비해 선제적인 시설 확보에 나섰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대부분 해당 지역 주민들은 시설 운영에 반대하고 있어서 적절한 시설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임시생활시설, 임시검사시설 운영 지역에서 (코로나19가) 전파되거나 시설 관계자들이 확진된 사례가 없고 엄격히 방역 관리를 하고 있어서 시설로 인한 지역전파 위험도는 굉장히 낮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날 경기도 김포의 임시생활시설에 격리돼 있던 베트남인 3명이 시설을 무단 이탈한 사실이 확인돼 경찰이 추적에 나섰다. 이들은 관광 목적의 단기체류 외국인으로 격리된 지 8일째였다. 입국 당시 받은 진단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이번 이탈 사태로 그동안 시설 지정을 반대해 온 주민들의 불안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에서도 부산항으로 입항한 외국 선박에서 하선을 원하는 선원이 2주간 머무를 임시생활시설 지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설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자가격리 중 무단 이탈한 외국인도 상당수다. 전날 오후 6시 기준으로 전체 자가격리 무단 이탈자 723명 중 외국인은 123명, 17.0%였다. 115명은 해외에서 입국해 자가격리 중이었고, 8명은 국내에서 접촉자로 분류된 사례였다.
중대본은 여름휴가철에 접어들면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방역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유흥시설뿐만 아니라 게스트하우스 등 불특정 다수가 밀접·밀집하게 접촉하는 다중이용시설도 관리 대상이 된다.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시설을 대상으로 시설면적 4㎡당 1명으로 이용 인원 제한, 시간제 운영, 사전예약제 실시 등의 방역수칙들을 추가할 수 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