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 유동성 지원이 정부 예측대로만 사용되지는 않은 듯 하다. 올해 상반기 은행권 수신이 사상 최대 규모 늘었다. 초유의 통화·재정 정책 자금 상당 부분이 은행 금고로 다시 흘러들어갔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6월 말 기준 은행 수신이 1858조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8조7000억원 급증했다고 27일 밝혔다. 상반기 기준 은행 수신 증가량은 사상 최대다.
월별로는 코로나19 사태 발발 직후인 2월 35조9000억원 수신이 급증했다. 3월 33조1000억원, 5월 33조4000억원 늘었다. 감염자 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된 6월에는 18조6000억원 늘어나며 상승폭이 완화됐다.
0%대 저금리에 대출도 늘었다. 1월부터 6월까지 은행의 기업·자영업자 대출은 총 77조700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도 40조6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와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위기 상황에서 대출을 급속히 늘렸지만 소비나 투자에 사용하기보다 예금으로 움켜쥐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늘어난 은행 수신 108조7000억원 중 107조6000억원이 수시입출식 예금이며 정기예금은 같은 기간 오히려 2조3000억원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급격히 늘어난 수신은 결국 급격히 늘어난 대출과 연동돼 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면서 “가계나 기업이나 위기 상황을 맞아 일단 대출을 받아 현금을 확보했지만 막상 쓰지 않고 예금으로 쌓아뒀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 상황이 곤혹스러운 것은 빈부 격차를 심화시킬 전조 현상이라는 점이다. 정작 돈이 필요한 기업·가계에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길 꺼리지만 신용도가 높은 기업·가계에는 자금이 풍부히 공급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미국 주요 나스닥 기업의 주가가 천정부지로 오르는 것이나 한국의 부동산 시장이 끓어오르는 것도 결국 같은 맥락”이라면서 “경기 상황을 볼 때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지만 쌓인 돈이 많으니 특정 자산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저축이 급증하는 것은 전 세계적 현상이다. 각국 정부·중앙 은행은 향후 통화·재정 정책을 어떻게 구사해야하는 지 고민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저축 증가가 단기가 아닌 중장기적인 성격의 자금 비축이라면 소비 활성화 대책의 강도도 더 높게 끌어올려야 한다”면서 “현재로선 늘어난 저축의 성격을 가늠하기 어려워 추가 대책의 강도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